AI의 힘, 딥페이크 광고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20210239 이승준
안녕하세요! 저는 디지털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한국역사학과 21학번 이승준입니다.
여러분 딥페이크 기술에 대해서 알고계신가요? "deep learning"과 "fake"의 합성어로 웹스터 사전에 정의에 따르면 딥페이크(deepfake)란 실제로 행동하지 않았거나 말하지 않은 것을 한 것처럼 조작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뜻합니다.
퍼퍼 재킷을 입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딥페이크 사진 (이미지 출처: @andrea_ciulu|X.com[3])
여러분도 소셜미디어에서 유명인들을 합성해 재미를 유발하는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보셨을 텐데요. 아마 쇼츠나 릴스에서 한번씩 보시면서 웃으셨을 거라 예상합니다 ㅎㅎ 모두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것입니다. 이런 딥페이크 기술이 광고에도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https://play.tvcf.co.kr/897987
국내에 사례에서는 차이커뮤니케이션에서 제작한 KB라이프생명의 ‘라이프를 나름답게’ 광고에서는 윤여정 배우님의 현재 모습과 AI기술로 재탄생한 윤여정 배우님의 과거 젊은 시절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번 찾아보시면 정말 깜짝 놀라실 정도로 이질감이 없어요!!) 해당 광고는 소비자들에게 딥페이크 기술을 통해서 소비자들에게 큰 인상을 남겨주었고 2023년 대한민국 광고대상 이노베이션 금상을 수상한 성공적인 광고라고 볼 수 있었습니다.
https://isplus.com/article/view/isp202408230160
앞선 광고는 딥페이크 기술에 성공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죠. 하지만 일간스포츠의 기사에 따르면 23일 덱스의 소속사 킥더허들 스튜디오는 공식 SNS에 “최근 소속 아티스트 덱스를 사칭하여 딥페이크, 인공지능(AI) 등의 기술이 접목된 불법 도박 게임 광고가 온라인 커뮤니티 및 유튜브, SNS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유포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딥페이크 기술을 통해 도박 등 불법광고나 유명인들의 얼굴을 함부로 도용하여 사칭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2YWoDi7lk8
AI기술의 발전으로 등장한 딥페이크 기술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조니워커 광고에서 브루스리(이소룡)을 등장시키거나 윤여정 배우의 젊은 시절 모습을 보여주면서 젊은 세대에게는 신선함을 중장년층 세대에게는 추억을 선사하며 광고를 더 친숙하고 크리에이티브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 하지만 아직 딥페이크 기술이 제대로 나온 지는 오래 지나지 않아서 법적인 제제가 부족하고 얼굴에 도용이 만연한 상태인데요. 이런 딥페이크 광고에 대해서 광고인으로서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법적인 제제가 필요하다면 어떤 기술적인 제한이 필요할까요? 딥페이크 기술을 광고에 쓰는 것이 효과적인 걸까요? 앞으로 광고계를 이끌어갈 여러분들의 생각이 딥페이크 기술의 앞으로 모습을 만들어나갈 것입니다.
이상으로 포스팅 마무리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및 참고
https://play.tvcf.co.kr/897987
https://www.youtube.com/watch?v=y2YWoDi7lk8
https://isplus.com/article/view/isp202408230160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what-is-a-deepfak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