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소비자 트렌드

소비를 뛰어넘어 이제는 기획, 유통, 홍보, 비판에 관여하는 소비 트렌드 ‘팬슈머’

 안녕하세요 :)
저는 미디어플래닝을 수강중인
유라시아학과 김은지입니다.

제가 오늘 여러분에게 소개드릴
소비 트렌드는
‘팬슈머(fansumer)’
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팬슈머(fansumer)라는 용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팬(fan) + 컨슈머(consumer)의 합성어

이미지 출처: NH투자증권 공식 블로그


즉, 브랜드 소비를 넘어 기획, 투자, 유통, 홍보, 비판 등 브랜드에 대해 전반적으로 관여하는
소비자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팬슈머(fansumer)들은 단순한 브랜드의 소비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브랜드 생산 과정에 참여하여
브랜드를 키워내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기쁨과 즐거움느껴 활발한 소비를 이어나가지만,
브랜드에 대한 비판, 견제 등을 서슴지 않는
팬으로서의 소비자입니다.

팬슈머(fansumer)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자신이 선택한 브랜드를 키워나가고 엄청난 브랜드의 홍보효과를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특히 아이돌 소비 문화에서
이러한 팬슈머(fansumer)들의 역할이
돋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러한 아이돌 소비 문화 속
‘다양한 팬슈머(fansumer)의 모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ʕ•ᴥ•ʔ

1. 팬튜브
한 아이돌을 좋아하게 되면서
그 아이돌에 대한 것들을 모으거나 찾아보는 행위를
흔히 ‘아이돌 덕질’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아이돌 계 덕질 문화는 매우 다양하며
그 중 ‘팬튜브’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팬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을 의미하며
실제로 이러한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양한 팬튜브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유튜브 안구정화TV, Your Korean Friend


대표적인 덕질 팬튜브로써
방탄소년단(bts)에 관련된 것들이 업로드 됩니다.
방탄소년단 콘서트 브이로그, 앨범 언방식,
방탄소년단이 광고한 제품 리뷰, 방탄소년단 DIY 제품 등 다양한 컨텐츠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팬튜브’로 인해 유튜브 시청자들은 함께 덕질할 수 있는 즐거움과 더불어 자신이 경험해보지
못했던 것을 간접 경험함으로써 대리만족과
구매욕구를 느낄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팬슈머 ‘국군장병’
브레이브 걸스의 ‘롤린’은 역주행을 이끌어낸
대표적인 곡이며 현재 멜론 차트에 당당히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멜론(melon)

 

특히 이번 ‘롤린’의 역주행 방식은
이전 역주행 곡들과 차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레이브걸스는 이미 ‘군통령’이라고 부릴만큼 오랫동안 군부대 내 탄탄한 팬층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2016년 현 브레이브걸스 멤버들이 데뷔한 후,
꾸준히 군부대 공연을 이어왔습니다.
군부대 내 ‘롤린’의 인기는 국방TV인 <위문열차>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튜브 채널에도
다수의 영상이 업로드 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롤린’의 역주행이 시작된 것은 유튜버
‘버디터VIDITOR’의 영상
<브레이브 걸스_롤린_댓글모음>입니다.

 

이미지 출처: 유튜브 버디터VIDITOR

 

해당 영상을 통해 브레이브걸스의 ‘롤린’ 군부대 영상들의 무대 교차 편집본과 당시를 기억하는
이미 전역한 많은 예비역들의 댓글 모음이
알고리즘을 통해 빠르게 2차 확산되었습니다.

이렇듯, 일반 무대가 아닌 ‘위문열차’라는 군부대 무대를 통해 ‘롤린’은 차별화된 역주행 신화를
쓸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군부대 공연이 새로운
아이돌 소비의 장으로 탄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팬슈머 ‘국군장병’
아이돌 시장의 떠오르는 소비자로
주목을 받고있습니다.

3. ‘국민프로듀서’가 된 팬슈머

 

이미지 출처: 프로듀스 101 시즌1 로고

 

<프로듀스 101>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당시에 선풍적인 인기를 끈 우리나라 프로그램입니다.

엠넷(Mnet)에서 기획하여 2016년 1월 22일부터
4월 1일까지 방영한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국내외 50여개 기획사에 소속된 여자 연습생
101명이 출연해 서로 경쟁하여
‘국민프로듀서님’들 즉, TV 시청자들의
선택을 받은 11며이 새로운 그룹으로 데뷔한다는
획기적인 서바이벌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프로듀스 101 나무위키

 

<프로듀스 101>은 ‘100% 국민 투표’로 11명의
아이돌 그룹이 만들어진다는 전제 하에
매주 금요일 방송 날짜에 맞춰 순위를 공개하고
<Ment Official> 공식 유튜브를 통해
각 아이돌들의 무대에 대한 ‘일대일아이컨택’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이미지 출처: 유튜브 Mnet Official

 

이러한 새로운 시도의 아이돌 육성 프로젝트는
TV 시청자들에게 재미와 볼거리를
똑똑히 만족시켜주어 대성공을 이뤘습니다.
이후, <프로듀스 101>은 팬슈머의 파급효과
소비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시즌제로
계속 이어나갈 수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국민 프로듀서’라는 팬슈머의 자세를 앞세워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 탄탄한 팬덤을 형성하고 이것이 훗날, 아이돌 그룹 활동에서 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유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아이돌 소비 문화에서 ‘팬슈머(fansumer)’
역할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아이돌 소비 시장의 움직임 또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소속사와 방송사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소비만이 아닌 모든 과정에 참여하는
컨텐츠의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이돌 문화 속 팬의 존재 여부가 매우 중요하며
팬의 소리가 엄청난 홍보 효과를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팬의 비판을 무시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또한, 앞으로 아이돌 소비 문화 속 ‘팬슈머(fansumer)’의 역할은 점차 확대될 것입니다.

여러분도 이러한 아이돌 소비 문화 속
팬슈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혹은 다른 형태로 팬슈머의 역할을 하고 계신가요?

(▰˘◡˘▰)

이 질문을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참고 문헌]

 

1. 지식백과(팬슈머), 2019/10/29  팬슈머 (naver.com)

팬슈머

상품이나 브랜드의 생산 과정에 참여하는 소비자를 일컫는 용어로, 이들은 자신이 키워낸 상품이나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동시에 비판, 간섭 등도 서슴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 외

m.terms.naver.com

2. 나무위키(팬튜브), 2021/04/24, 팬튜브 - 나무위키 (namu.wiki)

팬튜브 - 나무위키

씨잼 팬튜브 문스윙스의 갤러리

namu.wiki

3. 한국첨단연예소식, 하이테크 크티, 2021/03/1,브레이브걸스 롤린 역주행 이유, 제2의 깡?(영상有) (tistory.com)

브레이브걸스 롤린 역주행 이유, 제2의 깡?(영상有)

브레이브걸스 롤린은? 브레이브걸스의 '롤린'은 15 군번 이후의 예비역 및 현역 장병들(특히 병 출신)에겐 발매 직후부터 지금까지 국군 비공식 군가 수준의 인기를 구가하는 히트곡이다. 롤린의

khti.tistory.com

4. 나무위키(프로듀스 101), 2021/04/26, 프로듀스 101 - 나무위키 (namu.wiki)

프로듀스 101 - 나무위키

최종 11명은 I.O.I를 참고하기를 바람.자세한 사항은 참가자별 개별 문서나 참가자 목록이 있는 문서에 서술한다. 동명이인일 경우 A, B 순으로 구별한다.일부 멤버 문서에는 대용량 사진 자료가

nam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