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디어플래닝을 수강하고 있는 국민대학교 경영학전공 21학번 이해진입니다.
여러분, 요즘 부적 굿즈를 선물받거나 구매하신 경험 있으신가요??
저는 최근까지 많은 경험을 하고 주변에서 보았는데요:)
2023년, 캐릭터 부적에서부터 시작하여 많은 캐릭터 부적이 생겨나며 부적 굿즈는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았습니다.
좌측은 기성세대가 생각하는 기존 부적이라면, 우측은 요즘 MZ가 즐기는 부적 굿즈입니다.
일상의 작은 소재라도 응원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다소 귀여운 이미지의 부적 굿즈는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감과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응원하는 순간 순간에 엿볼 수 있는 부적 굿즈 열풍!
어떤 부적 굿즈가 있는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1. 최고심 부적 굿즈
서울 서교동과 부산 전포동에 최고심 팝업 스토어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저 또한 서교동에 갔지만 긴 웨이팅으로 금일 입장 마감까지 되어 최고심 팝업 스토어는 구경하지 못할 정도로
인기가 고공행진되고 있습니다!
행운과 행복을 바라는 부적굿즈는 여러 디자인과 소재로 다양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격은 장당 500원으로 저렴하여 부담도 적답니다:)
'부적 조제실'이라는 부적굿즈 판매 코너명을 정함으로써 독특한 컨셉을 구상한 점도 눈길이 갔습니다.
실제 포토카드 부적 굿즈를 구매하기도 하지만, 사진으로 소장하여 서로 연락을 주고 받거나
배경화면으로 지정하는 등 다양하게 즐기기도 하고 있습니다.
2. 키링 부적 굿즈
포토 카드 형식의 부적 굿즈 뿐 아니라 키링으로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어디든 매달고 다니며 원하는 기운이 모여 좋은 일이 생길 거라는 의미로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굿즈 시장에서 키링이 인기있는 품목으로 귀여운 이미지와 의미로 많은 구매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카카오톡 이모티콘, 토스 응원카드 이벤트 등 다양하게 응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용도로
부적 굿즈는 다양한 곳에서 접할 수 있습니다:)
왜 부적 굿즈를 이용하며 즐기는 걸까요?
1) 소소한 테라피
내 마음을 돌보는 소소한 테라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주저하는 마음을 저지하고 긍정적인 마인드셋을 가지게 암시효과를 줄 수 있는하나의 장치인 것이죠.
고전적인 부적과는 달리 응원과 행운의 메시지를 보고 스스로의 의지를 되새길 수 있는 것입니다.
2) 선물&손편지 대용
퇴사할 때 함께한 동료들과 팀프로젝트를 마무리하며 팀원들과 부담스럽지 않게 마음을 나눌 수 있습니다.
포스트잇에 손편지를 써서 전달하는 것을 대용으로 가볍게 전달하기도 합니다.
3) 덕질
부적 굿즈가 인기있는 이유는 개성있는 캐릭터를 덕질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귀엽고 개성있는 캐릭터의 이미지가 들어갑니다.
기존 캐릭터에 스며들어 이를 취향으로 즐기는 이들이 구매하기도 하는 것이죠!
지금까지 부적 굿즈 트렌드에 대해 톺아보았는데요.
본인에게 또는 응원하고 싶은 이와 함께 부적 굿즈를 즐겨보면 어떨까요?
이미 알고 있으신 분들도 있겠지만, 모르셨던 분들께 유용한 글이었길 바랍니다:)
부담스럽지 않게 서로의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최적의 도구가 아닐까 생각하여 추천드립니다.
최근 토스에서 사용자의 도전을 토스가 응원할 수 있는 접점으로 응원카드를 선택하여 이벤트를 진행하였는데요.
리브랜딩을 하며 응원카드 이벤트로 리브랜딩 가치를 이해하기 쉽게 접근하여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앞으로도 여러 브랜드에서 소비자와의 소통 수단으로 부적 굿즈와 같은 응원카드 등이 인기를 이끌지 않을까 기대해봅니다!
이만 제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209080038
“바뀐 토스 로고, 어때요?”…낯설지만 이유 있다
“너무 날카로운 듯해 원래 2D(2차원) 모양이 더 예쁘다” “아트웍(Artwork)도 예스럽고 의미도 진부하다” “심플하고 예쁜데 왜 반응이 별로인
economist.co.kr
https://www.careet.net/content/secret/230508-6b6944a3-f090-4786-b2f3-7b91d53ebe59
NEW 굿즈 트렌드! 부적 사려고 2시간 웨이팅하는 Z세대 근황
트렌드를 읽는 가장 빠른 방법
www.careet.net: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