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소비자 트렌드

요즘 대세는 피지컬? ㄴㄴ '피지털'!

안녕하세요. 디지털마케팅커뮤니케이션을 수강하고 있는 

광고홍보학전공 21학번 조윤정입니다!

 

포스팅에 앞서, 여러분은 하늘을 자주 올려다보시나요?

사람들은 더 탁 트인, 넓은 시야를 얻기 위해 돈을 더 주고서라도 더 높은 공간에서 살길 원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런 공간적인 시야를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은 

 잠시 고개를 들어 하늘을 바라보는 것이라고 해요.

요즘 하늘이 예쁘던데 우리 모두 잠시 고개를 들어 하늘을 올려다보는 건 어떨까요?

 

 

그럼 이제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오늘 제가 이야기할 주제는 2023 상반기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중 하나인

'피지털(phygital)'입니다.

 


 

디지털 마케팅 인사이트 연구소 인크로스가 

'2023 상반기 마케팅 트렌드 결산'을 발표했어요.

총 5가지의 마케팅 트렌드 핵심 키워드를 꼽았는데

불황 마케팅, HVOD, 커뮤니티 서비스, AI 검색 · 쇼핑

그리고 '피지털'이 그것이었어요!

 

출처: 인크로스, 2023 상반기 마케팅 트렌드 결산

 

??

피지털??

 

피지컬은 들어봤는데...

피지털은 뭘까요??

 

 

피지털(phygital)

피지컬(physical)과 디지털(digital)의 합성어로 공간과 디지털을 혼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디지털의 공간화와 공간의 디지털화로 나눌 수 있다.

 

 

아직 이해하기 어려우시다고요?

디지털의 공간화와 공간의 디지털화의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해볼까요?

 


 

《디지털의 공간화(Online to Offline)》

 

오프라인 매장이 없어서 소비자를 직접 만나기 어려운 온라인 플랫폼들이

팝업스토어 형태의 플래시 리테일로 소비자에게 색다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것

디지털 공간화의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기업은 팝업스토어를 통해 신규 서비스나 제품을 소개하면서

판매 플랫폼도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 및 참여도를 향상시켜 고객과의 접점을 강화시킬 수도 있어요!

 

지그재그 팝업스토어 현장 사진(출처: 뉴시안 뉴스)

 

여성 의류 쇼핑몰을 제공하는 플랫폼 어플 '지그재그'가 더현대서울에 열었던 팝업스토어는 

매우 성공적이었고 똑똑한 디지털 공간화의 예시입니다.

 

지그재그 팝업스토어는 MZ 세대들 사이 가장 주목받는 곳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2주 간의 운영 기간 누적 방문객이 무려

총 4만명,일 평균 방문객 2천900여명을 기록했어요.

 

온·오프라인 연계 쇼핑 효과도 두드러졌습니다.

지그재그는 구매한 제품을 번거롭게 들고 다니는 대신 빠른 배송 서비스인 직진배송으로

당일 저녁 또는 다음날 아침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현장 구매뿐만 아니라

230여개 상품에 QR코드를 부착해 지그재그 앱 내 제트결제로 구매할 수 있게 했는데,

실제로 팝업스토어 운영 기간, 지그재그 제트결제 거래액은

전월 동기간 대비 18% 증가했고, 지그재그 신규 가입자 역시 21% 증가했습니다.

 

이렇듯 지그재그의 팝업스토어는

똑똑하게 설계하여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낸 디지털 공간화의 사례입니다!

 

팝업스토어 외에도 브랜딩 혹은 판매 플랫폼 확장 차원에서 

오프라인 공간을 기획하는 활동을 디지털 공간화로 볼 수 있어요!

 

요즘, 이러한 디지털 공간화의 사례는 정말 많이 보이지 않나요?

앞서 언급한 지그재그 외에도 W컨셉, 29cm, 무신사 뷰티, NFT 팝업 등! 

디지털 공간화를 시도하고 있는 기업은 정말 많은데요.

 

 온라인 리테일 브랜드가 오프라인 매장을 열어 얻게 되는 후광효과(Halo effect) 덕분에

평균 매출이 37% 늘어났다는 연구 결과를 보면, 

디지털의 공간화를 시도하는 기업이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공간의 디지털화(Offline to Online)》

 

서울시가 메타버스 플랫폼인 '메타버스 서울'을 통한 공공서비스 제공을 확대하는 것 아시나요?

경제, 교육, 세무, 행정 등 메타버스 기반의 공공서비스를 단계별로 확대 제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메타버스 서울은 공공서비스가 디지털화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이는 공간의 디지털화의 사례가 됩니다. 

 

메타버스 서울 이용 장면 (출처: 조선일보)

 

금융업에서도 공간의 디지털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신한은행의 'R비서' 도입이 그 예시입니다.

 

신한은행 R비서 활용 모습(출처: 한국경제)

신한은행은 AI시스템 R비서를 도입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데요.

주요 은행이 AI 기술을 단순 업무의 일괄적인 자동화를 위해 주로 사용해왔다면

신한은행의 R비서는 은행원 개인에게 맞춤형 업무 솔루션을 제공하는 게 특징입니다. 

신한은행은 R비서 보급을 통해 신용평가 등 복잡한 업무까지 자동화하는 것은 물론

보텀업 방식의 AI 기술 고도화를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하네요!

 

이렇듯 이전에는 은행 영업점이 주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에 그쳤었다면

최근에는 AI시스템 등을 도입하여 효율이 강조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공간의 디지털화에 해당합니다!


 

디지털의 공간화, 공간의 디지털화로 나누어 피지털을 이해해봤는데

그럼 이제 피지털 광고에 대해 살펴볼까요?

 

피지털 광고는 디지털사의 공간, 유통사의 디지털에 광고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디지털화된 옥외광고를 게재하는 것이 대표적인 형태입니다.

 

넷플릭스의 A Classic Horror Story 홍보를 위한  Fear becomes reality 광고

무시무시한 이 광고..

아마 보신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이러한 광고가 디지털화된 옥외광고, 즉 피지털 광고의 예시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간단한 퀴즈!

앞서 피지털은 공간의 디지털화와 디지털의 공간화로 나눌 수 있다고 했는데

이 광고는 공간의 디지털화와 디지털의 공간화 중 어느 쪽에 가까운 광고일까요?

 

정답은!

'디지털의 공간화'입니다!

 

넷플릭스는 이러한 피지털 광고를 잘 활용하는 기업 중 하나인데요.

이는 알고리즘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입니다.

넷플릭스를 대표하는 기술 중 하나가 바로 추천 알고리즘인데요.
처음 몇 개의 작품을 보면 그 이후에는 넷플릭스의 알고리즘이 내 성향을 파악해서 알아서 작품들을 추천해줍니다.
하지만 이것의 단점은 계속해서 비슷한 장르의 작품들만 추천해준다는 점이죠.
이럴 경우, 넷플릭스에서는 신작이 나오더라도 시청자의 성향에 맞지 않을 경우 알고리즘에 뜨지 않아
빛을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피지털 광고는 불특정 다수에게 보여지고 온라인 광고와 달리 스킵도 불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넷플릭스는 추천 알고리즘을 통한 홍보보다 더 많은 시청자에게 신규 작품을 알릴 수 있죠.

 

넷플릭스가  피지털 광고에 진심인 이유를 이해할 수 있겠죠?

 

카카오모빌리티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블루 RSE

택시 뒷자석에서 자주 봤던 이러한 광고도 피지털 광고의 예시인데요.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블루 택시 뒷좌석에 설치된 태블릿에서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인 블루 RSE를 통해

탑승객 관심이 높은 각종 콘텐츠, 주행정보와 함께 눈높이에서 노출되어 집중도 있는 광고 집행합니다.

 

그렇다면, 이 광고는

디지털의 공간화와 공간의 디지털화 중 어느 쪽에 가까운 광고일까요?

 

맞습니다!

공간의 디지털화죠!

 

어떤가요?

피지털 광고!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광고 아닌가요?


그렇다면, 마지막 순서!

기업이 피지털 경험을 구현할 때 고려해야할 점은 무엇일까요?

 

고객이 출발점이 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첨단 기술을 도입하며 소비자들이 몰려들 것이라는 기대보단 

고객의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기술을 활용해야하고

또 기술이 제공하는 경험의 반응과 고객 데이터를 가지고 보다 진화된 

피지털 경험을 디자인해 나가는 것이 바랍직합니다. 

 

즉, 기업 내부에서 시작된 Inside Out 관점이 아닌, 

고객의 시각에서 시작된 Outside in 관점이어야 한다는 것이죠!

 


 

이렇게, 상반기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중 하나인 '피지털'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피지털이라는 이름만 조금 생소하지

우리는 늘 피지털을 접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 이만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인크로스, 2023 상반기 마케팅 트렌드 결산

https://www.incross.com/ko/insight/report.asp?mode=view&idx=1437

 

인크로스

Evolve Today. Lead Tomorrow.

incross.com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seoul/2023/01/31/ZZQPZYWKENCSRKJZRFWVSUAQFY/

 

美타임지도 최고라는 ‘메타버스 서울’… ‘핫플’ 6층 시장실 가보니

美타임지도 최고라는 메타버스 서울 핫플 6층 시장실 가보니

www.chosun.co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061243461

 

신한은행, AI 비서 도입해 업무효율성 높인다

신한은행, AI 비서 도입해 업무효율성 높인다, 영업점에 AI시스템 'R비서' 보급 직원들에 맞춤형 솔루션 제공 신용평가 등 복잡한 일도 자동화 반복업무 줄며 스트레스 감소

www.hankyung.com

https://youtu.be/uQ56KF4Qbv8?si=RlsTb-q_NtUIS2Fb

2023년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 피지털 광고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2023년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 피지털 광고

디지털의 오프라인화 오프라인의 디지털화 브랜드마케터로 2022년에 느낀 가장 큰 변화는 소비자도 기업도 ...

blog.naver.com

https://naver.me/GWJtemLr

 

네이버

 

lin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