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디지털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20200542 미디어전공 윤현석입니다.


요즘 SNS를 보면, 마치 지브리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처럼 바뀐 사진이 자주 보입니다. “이게 진짜 AI로 가능해?” 싶은 이 이미지들은,
사실 텍스트 생성 AI인 챗GPT와 이미지 생성 AI인 DALL·E가 만나
만들어낸 결과물입니다.
오늘은 지브리 그림체로 사진을 바꿔주는 기술의 원리부터 실제 사례,
그리고 그 이면의 논란까지 한 번 들여다보겠습니다.
🌟 AI가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꾼다고?
챗GPT 자체는 텍스트 생성 AI지만,
현재 오픈AI는 DALL·E라는 이미지 생성 모델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사용자가 입력한 프롬프트를 바탕으로 그림을 생성하거나,
기존 사진을 원하는 스타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지브리 스타일로 이미지를 만드는, 일명 지브리 놀이가 열풍하고 있습니다.
사실 지브리 스타일로 이미지를 만드는 기능은
이미 다른 생성형 AI로도 만들 수 있는데요,
후발주자나 다름없는 챗지피티가 유행하게 된 이유는 간편성 때문입니다.


위 방법처럼 챗지피티에 이미지를 첨부하고,
지브리 스타일로 그려달라는 프롬프트만 입력하면
금세 지브리 스타일의 그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간편성 덕분에 굉장히 다양한 사진들이 지브리 스타일로 쏟아져 나오고 있어요.
⚠️ 그런데, 문제는 없을까?
저작권과 창작자 권리에 대한 논쟁
하지만 기술이 주는 즐거움 뒤에는 언제나 윤리적 고민이 따라옵니다.
지브리 그림체처럼 특정 작가나 스튜디오의 고유한 스타일을
AI가 ‘학습’하고 ‘모방’한다는 점은 많은 논란을 낳고 있어요.


이에 대한 문제들 때문에 이미 뉴스에서도 많이 보도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주요 논점들로 크게 세 가지를 뽑아봤습니다.
1. 스타일도 저작권 보호 대상일까?
지브리의 그림체가 단순한 표현을 넘어서 예술적 자산으로 인정된다면,
AI의 모방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2. 학습에 사용된 이미지, 출처는 안전할까?
만약 원작자의 허가 없이 사용된 이미지로 AI가 학습되었다면,
그 과정 자체가 불법일 수 있습니다.
3. 생성된 이미지의 권리는 누구에게?
AI가 만든 이미지지만, 그 기초는 원작자의 스타일입니다.
이에 대한 저작권이나 상업적 이용 여부도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 우리는 이 기술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AI 기술은 이제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넘어
창작자의 영역을 ‘재현’하는 수준까지 도달하고 있습니다.
창작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스타일이 무단으로 재현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창작을 즐기는 것 또한 매력적인 경험이죠.
그렇기에 기술을 사용하는 우리 모두가 그 경계와 책임을 함께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