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1.gif)
안녕하세요. 저는 사회학과 20200507 장지혜입니다.
오늘 소개할 광고는 "디지털 사이니지"입니다.
혹시 SM TOWN 코엑스에서 디스플레이가 아주 큰 화면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백화점과 같은 장소 내·외부에서 디지털 화면을 이용한 광고를 보신 적이 없으신가요?
"디지털 사이니지"란 무엇일까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디지털 사이니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디스플레이(LCD, LED 등)를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하여 정보,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뜻합니다.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뿐만 아니라 세계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이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유럽, 일본까지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광고 시장도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시스템 구성, 서비스 형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여러 분류로 나눌 수 있으나, 설치 장소의 특성에 따라 대기장소, 환승장소, 판매장소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대기장소에서의 대상은 대기자이고 설치 위치는 병원, 은행, 박물관, 경기장, 호텔 등이며 주요 콘텐츠는 뉴스, 경제, 기상 정보, 개최될 미팅 시간 및 장소 안내 등 정보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환승장소에서의 대상은 공공 교통 이용자이고 설치 위치는 기차역, 지하철역, 공항, 버스나 택시 정류장 등이며 공공교통정보, 관광정보, 광고 등이 집행됩니다.
- 판매장소에서의 대상은 구매자이고 설치 위치는 쇼핑몰 또는 상점 등에 설치하는 키오스크 또는 스크린이며 주로 광고가 집행됩니다.
그렇다면 성공한 디지털 사이니지 사례를 살펴볼까요?
1. SM TOWN 코엑스 - WAVE
삼성동 SM타운 코엑스 아티움 옥외 디스플레이는 일반 농구 코트 4배 정도의 크기인 폭 80.9m, 높이 20.1m의 디지털 사이니지입니다. 상영된 영상은 1분짜리 Public Media Art#1_WAVE(일명 WAVE)라는 디지털 영상입니다. 3만여 개가 넘는 LED로 채워진 스크린은 밝기가 자동으로 최적화되어 어두울 때는 밝기를 낮추고 한낮에는 밝기를 높임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최상의 상태로 관람할 수 있게 했습니다. 초고해상도로 마치 거대한 파도가 수조를 뚫고 나올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고, 코로나19로 인해 몇 달 동안 도시에 갇힌 시민들에게 파도 영상은 보는 것만 해도 절로 눈이 시원해지는 느낌을 부여해 주었습니다.
2. 뉴욕 타임스퀘어 - 삼성 갤럭시 S8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갤럭시 S8·갤럭시 S8+(이하 ‘갤럭시 S8’) 광고가 집행되었습니다. 삼성전자가 이곳에서 갤럭시 S8 옥외 광고를 선보인 것입니다. 타임스퀘어 한복판에서 갤럭시 S8 공개를 기념하는 퍼포먼스도 마련되었는데, 거대한 전광판에 펼쳐진 영상 속에서 커다란 고래 한 마리가 건물과 건물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헤엄쳤습니다. 갤럭시 S8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인피니티 디스플레이(Infinity display)가 저절로 연상되는 광경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타임스퀘어를 넘어 보다 넓은 세상으로 나아가는 고래는 흡사 기존 경계를 넘어 무한히 확장되는 갤럭시 S8의 모바일 라이프를 떠올리게 했다고도 합니다.
3. 도쿄 신주쿠 크로스 스페이스 - 고양이
일본 도쿄 신주쿠 한복판에 거대한 고양이가 등장했습니다. 거대한 고양이는 건물 위에 설치한 특수 4K 스크린을 통해 생생하게 살아 있는 듯이 움직입니다. 이 전광판은 '마이크로애드 디지털 시그나지'와 '유니카 비전'의 합작품으로 '미래의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로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3D 커브 스크린으로 제작된 전광판이 거대 고양이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거대 고양이 전광판이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은 이유는 단순히 크기 때문만이 아니라 마치 진짜로 고양이가 살아 있고, 건물 주위를 지나가는 사람과 소통한다는 느낌을 전달했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콘텐츠산업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는 LCD 등 하드웨어의 단가 하락과 네트워크의 발달, 모바일 환경의 일상화에 따라 TV, 인터넷, 모바일에 이어 제4의 미디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의 콘텐츠는 블루투스, NFC, 영상처리 기술들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와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강화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성별, 연령, 위치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모바일기기와 디지털 사이니지가 연동하고, 웹 서비스 등과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LED, LCD 디스플레이에서 벗어나 일반 벽면, 바닥, 유리 등에 투사하는 기술들이 상용화되는 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3D 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확산됨에 따라 3D 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도 활발히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콘텐츠산업의 전망은 확산세에 긍정적 방향으로 검토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라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어떤 광고를 집행하고 싶으신가요?
댓글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경험과 관련 의견을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 ꒳ ˙ )◜⁾⁾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0.gif)
<출처>
채송화(2012),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기반 콘텐츠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코카포커스(54)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1284605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cat-3d-billboard-tokyo-japan_kr_60ebf37ee4b06dfc5e22fa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