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영상 광고(Video Ad)

젊은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오작교, 오마주

 

안녕하세요!

미디어플래닝 2번째 포스팅으로 돌아온 20160249 이승수입니다.

 

마케팅 관련 창작물을 제작하게 된다면

저작권 문제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을 텐데요.

주로 표절이냐 오마주냐 라는 문제로 갑론을박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본 내용인 오마주 마케팅을 이야기하기 이전에

두 개념의 차이에 대해 저도 다시 복습할 겸!

간단히 짚어보려고 합니다.

 


 

먼저 오마주(Hommage)란,

감사와 존경을 뜻하는 프랑스어라고 합니다.

그 뜻에 맞게 오마주를 할 때는 그 원작자를 분명히 알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영화에선 다른 작품의 장면이나 대사를 인용하는 방식으로 오마주해서

작품과 감독에 대한 존경을 표하기도 하죠.

 

그 예시로  한국에서도 엄청나게 흥행했던

뮤지컬 영화인 '라라랜드'에서도 (제 인생영화 중 하나인 라라랜드..)

'사랑은 비를 타고'와 '스윙타임' 등 여러 고전 영화의 장면들을 오마주 했다고 합니다.

가로등을 잡고 도는 장면

 

빨간 풍선 장면

 

길거리에서 여성들이 함께 군무하는 장면

 


 

반면에 표절은,

타인의 창작물을 동의 없이 사용한 뒤 출처를 밝히지 않는 행위를 말합니다.

오마주와 가장 큰 차이점은 원작자를 알 수 없게 숨긴다는 점인데요.

이는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명백한 범죄 행위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조사 도중에..

재밌는 짤이 있길래 한번 가져와 봤는데요.

공감되고 쉽게 이해가 되지 않나요? ㅎㅎ

 


 

이어서 저는 이번에 작년에 진행되었던 오마주 광고를 소개하려 합니다.

 

약 10여 년 전의 애니콜 광고를 오마주한

삼성 갤럭시 Z플립 3 광고 시리즈입니다.

 

첫 번째는 전지현의 애니콜 컬러 재킷 광고를 오마주한

러블리즈 이미주의 광고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nwBN8qQz4

전지현, 이미주 광고 비교 영상

 

여러 색깔이 있는 것을 같은 방식으로 거의 비슷하게 오마주 하면서도

영상 말미에는 삼성 갤럭시 플립의 접히는 특징을

몸소 보여주는 이미주 님의 모습이 광고를 한층 재밌게 만들어 주는 것 같습니다.

화면이 페이드아웃되서 잘 안보이지만... 광고 속 반으로 접힌 이미주님의 모습

 

 

두 번째는 이효리 님과 이서진 님의 애니콜 광고를 오마주한

오마이걸 승희와 2PM 준호의 광고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6Bt9QXuTtY

이효리, 승희 광고 비교 영상

 

당시 톱스타였던 이효리 님과 이서진 님이 함께 출연해 큰 인기를 끌었던 광고인데요.

보라색 옷과 붉은 재킷, 그리고 광고의 핵심이었던 "작업 중이야"라는 멘트까지

완벽하게 재현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익살스럽지만 고퀄리티로 새롭게 오마주한 이 광고들은

실제로 좋은 반응들을 이끌어냈습니다.

 


 

오마주 광고는 나올 때마다 호불호가 잘 갈리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신구 선생님의 불멸의 명대사,  "니들이 게맛을 알어?" 롯데리아 오마주 광고도

당시 반응이 좋았던 기억이 있거든요.

 

https://www.youtube.com/watch?v=E--NI6HJcwM 

롯데리아 40주년 기념 게살버거 광고

 

 

이외에도 70주년을 맞아 영상, 음악 등 과거의 콘셉트를 그대로 재현한

칠성사이다 광고도 좋은 반응들을 이끌어 냈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n5luS2-iAw 

칠성사이다 70주년 TVCF

 


 

오마주 광고들이 사랑받는 이유는

아마 젊은 세대에는 호기심과 신선한 재미를 제공하고

기성세대에게는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일 것입니다.

 

실제로 이러한 광고들을 보고 옛날 광고를 궁금해서 찾아보는 1020세대들이 꽤 많다고도 하네요.

최근에 생긴 레트로, 뉴트로 열풍이 광고산업에도 확산되고 있는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출처: 패션비즈

 

이 글을 쓰면서 제가 기성세대가 되어 간다는 침울함이 생기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열풍이 세대 간의 가교 역할이 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