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플루언서(Influencer)

인플루언서 마케팅, 이대로 괜찮은가?

최근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의 소셜미디어가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으면서

각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타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사람이라는 뜻의 신조어)들 또한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인플루언서 마케팅 또한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를 통해 생산되는 콘텐츠와 인플루언서가

TV광고, 연예인 못지 않은 영향력을 갖기 때문에 마케터들은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

소비자들의 인식과 구매 의사 결정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여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많이 집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SNS 상에서의 유명 연예인 강민경씨와 유명 스타일리스트 한혜연 씨 등의

'뒷광고 논란'이 크게 불거지면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실효적 측면에 대한 의구심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뒷광고'란 유료 광고 포함 표시나 어떠한 경로로도 광고라는 사실을 명시하지 않은 채

광고를 집행하여 소비자를 속이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출처: 한혜연 유튜브 채널 '슈스스 TV'
출처: 강민경 유튜브 채널 '강민경'

 

저 또한 평소 인플루언서들이 포스팅하는 영상 혹은 게시물에 대한 의혹이 많았습니다.

그러한 의심은 반복되었고, 인플루언서들이 올리는 모든 게시물,

 더 나아가 그들 자체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충 최근 불거진 뒷광고 이슈로 인해 낮았던 신뢰도는 반감이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뒷광고 논란'이 거세지면서 많은 인플루언서들이 광고 표기를 명확하게 하고 있습니다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들이 이전까지는 암암리에 광고 표기를 티나지 않게 하다가 논란이 생기니까

 

이제서야 광고 표기를 명확히 하는 것 같다는 생각에 소비자를 기만하였던 것만 같아

 여전히 그들에 대한 반감은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소비자들의 눈길을 끈 광고가 있습니다.

 

바로 '앞 광고'입니다. 

 

출처: MBC 예능 '놀면 뭐하니?' 

 

기존에 흔히 진행되는 PPL과는 다른 방식으로 속칭 '대놓고 PPL'이라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는데요.

 

인플루언서들의 뒷광고 논란이 한창이던 시기에 지상파 프로그램 MBC '놀면 뭐하니?'의 앞 광고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색다름을 제공하였고,

 

심지어 해당 제품을 직접 구매하여 먹어보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게 될 정도로 성공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PPL도 예능답게! "놀면뭐하니?"로 알아보는 효과적인 PPL 활용법, 소비자 평가, 박성훈 기자, 20.07. 13.

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12290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12290

 

www.iconsumer.or.kr

 

 

 

비슷한 맥락으로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강희재님(@heejaeholic)을 예로 들고자 하는데요.

 

출처: 강희재님 인스타그램 @heejaeholic

 

인스타그램 팔로워 17.5만 명을 보유한 인플루언서 강희재님은

해당 플랫폼을 통해 패션, 식품,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데요.

 

자사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제품의 경우 '#영업'이라는 해시태그를,

 협찬을 받은 제품의 경우 '#협찬'이라는 해시태그를 명확히 기재 후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소비자들의 반응은 대부분 긍정적입니다.

 

본인이 선호하는 인플루언서가 정확하게 광고 혹은 협찬 사실을 기재 후 

그 제품에 대한 설명 및 리뷰를 덧붙인다면 

인스타그램 라이브의 경우 해당 인플루언서의 구독자 혹은 관심이 있는 사용자들이 주 타겟이 되고,

그들은 해당 인플루언서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제품을 구매하기 때문에

기업(브랜드), 인플루언서, 그리고 소비자 까지 모두에게 이로운 '윈-윈-윈 전략'이라 생각합니다.

 

 

출처: "광고인 거 알지만 산다"...'앞광고'에 지갑 여는 소비자들, 한국경제, 민지혜 기자, 20. 09. 19.

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9185083i

 

"광고인 거 알지만 산다"…'앞광고'에 지갑 여는 소비자들 [민지혜의 패션톡]

"광고인 거 알지만 산다"…'앞광고'에 지갑 여는 소비자들 [민지혜의 패션톡], '앞광고' 시대의 무기는 진정성 포니,'셀리턴' 과장광고 "사과" '협찬' 숨긴 유튜버들은 '뭇매' '뒷광고' 금지 이달 1��

www.hankyung.com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장점은 분명 존재합니다.

기업(브랜드)의 입장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고, 

컨텐츠의 생산과 확산이 상당히 용이합니다.

 

또한 소비자들의 입장에서 기존에 선호하고 신뢰하던 인플루언서가 

홍보하고 광고하는 제품이라는 이유만으로도

소비자들의 주위를 끌 수 있고 접근성 또한 높습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SNS 시장이 갑작스레 과열되었기 때문에

점차 이러한 마케팅에 대한 여러 법적 규제가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간다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소비자 입장에서도 이를 통해 효율적인 제품 구매를 한다면

최근 이슈된 문제점들이 해결되고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점차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효과적인 마케팅 기법으로 자리매김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져보며 글을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