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광고홍보학과 19학번 홍성범입니다.
여러분 혹시 명품 좋아하시나요?
저는 금전적인 여유만 된다면 명품을 왕창 구매하고 싶습니다 ^^
사실 럭셔리 브랜드들은 온라인에서 판매를 하지 않는다는 이미지가 강했는데요,
요즘 이들이 온라인으로 파격적인 변신을 하고 있다고 하여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럭셔리 브랜드의 온라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은 크게
1. SNS 공략
2. 온라인 쇼핑 채널 확보
3.젊은 타겟 공략을 위한 리브랜딩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략1: SNS 공략
많은 럭셔리 브랜드들이 룩북이나 제품 카탈로그 목적의 자체 SNS 채널을 생성/운영 하고 있습니다.
또한 SNS 내에 게시한 사진이나 동영상들을 활용하여 광고를 집행하고,
Shop탭을 활성화하여 랜딩 유입을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G9fNs/btrPycdcsi6/RQybHg6F7NaHuNo3o67qxk/img.png)
이 뿐만 아니라 샤넬은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2021 S/S 컬렉션 예고를 하였고,
루이비통은 틱톡을 통해 패션쇼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렇듯 숏폼을 통한 마케팅 역시 많이 집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0O17r/btrPy9NuBR9/skWeJTtSo3EVpKhenqfhWk/img.jpg)
전략2: 온라인 쇼핑 채널 확보
명품 소비층 확대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소비 증가 추세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들이 온라인 쇼핑 채널 확보를 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변화는 명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들이 출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마 이용해보신 분들도 계실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트렌비, 머스트잇, 발란, 셀렉온 등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sNm9/btrPycqKncH/io9Ku0NNmqjVuHXzhHoTAK/img.png)
또한 여러분들이 많이 이용하시는 ‘카카오톡 선물하기’에도 명품 탭이 생겼습니다.
명품은 직접 선물해야 한다는 기존의 생각에서
비대면으로도 충분히 마음이 전달된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반영된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x22Us/btrPybyBo5G/kyiKEdsFPW23uHYiZFCtdK/img.png)
전략3: 젊은 타겟 공략을 위한 리브랜딩과 리포지셔닝
마지막은 리브랜딩, 리포지셔닝입니다.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하여 기존의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트렌디한 이미지를 새롭게 가져가기 위한 럭셔리 브랜드들의 노력이
온라인에 반영된 것입니다.
루이비통은 자체적인 앱서비스를 시작하여 디지털 네이티브인 젊은 층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하였습니다.
앱 내에서 제품 구매 및 패션쇼, 상품 론칭 등의 이벤트를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화보나 사진을 캡쳐하면 제품의 정보를 알려주는 혁신적인 기능도 탑재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rvZy9/btrPyKUEBs3/NXtZK7wZ787cdFoV0MFZg1/img.png)
메타버스 이야기가 나오면 항상 등장하는 럭셔리 브랜드와의 콜라보도 이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찌는 제페토와 협업하여 플랫폼 내 팝업스토어를 오픈하였고,
핸드백이나 액세서리 등 캐릭터가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제품들을 출시하여
메타버스의 주 이용층인 10대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구찌 제품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LsLVr/btrPzMRS25b/kpEMJ9yB4q2nFKwfg8XUJk/img.jpg)
루이비통은 온라인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와 협업하여 캐릭터들의 한정판 스킨을 출시하기도 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H6zLv/btrPzjJbFl5/mutSxQLCoy46ODw3w0tX3k/img.jpg)
이상으로 럭셔리 브랜드들이 온라인 전략들 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이런 행보를 보이고 있는 걸까요?
대표적으로 두가지의 배경을 들 수 있습니다.
배경1: 연령대
럭셔리 브랜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첫번째 이유는 ‘영리치’의 증가 입니다.
코인이나 주식 열풍으로 인해 젊은 부자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죠.
윗세대들의 영역이였던 기존 럭셔리 시장에 구매력 있는 젊은 층이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이들의 명품 소비가 증가하였습니다.
배경2: 정보 탐색 채널
일반적으로 럭셔리 브랜드들의 제품은 백화점 같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구매합니다.
당연히 명품에 대한 정보도 오프라인에서 접할 수 밖에 없었죠.
그러나 현재 MZ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대부분의 정보를 얻죠.
이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들도 온라인 내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간편한 구매를 위한 온라인 채널 구축이 불가피하게 된 것입니다.
이상 럭셔리 브랜드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들과
그 배경들에 대하여 말씀드렸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명품에 대해 올드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온라인에서 다양한 마케팅을 진행하는 것을 접하게 되면서
정말 트렌디하고 젊어지고 있다는 인식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다만 기존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명품만의 가치를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는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이 외에 다른 사례들을 알고 계신다면 공유해 주세요!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샤넬, 프라다, 셀린이 SNS에 진심인 이유
사는 재미가 없으면, 사는 재미라도
the-edit.co.kr
https://jobsn.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31/2020073100756.html
가방 하나에 400만원 하는 구찌가 카카오톡에 고개 숙인 이유
코로나 온택트 시대 온라인 플랫폼 위력 ‘뿜뿜’구찌 등 명품업체들 카톡 선물하기 속속 입점수백만원짜리 명품 ‘손끝 터치’로 선물 인기“카톡! ○..
jobsn.chosun.com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52012224289927
"199만원 구찌백, 3000원에 산다" 메타버스에 올라탄 패션 - 머니투데이
구찌, 나이키, MLB 푸마 DKNY 키르시까지…메타버스에서 진화하는 패션네이버Z의 제페토를 비롯해 3차원(3D) 가상현실 메타버스(Metaverse)가 대세 소셜...
news.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