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기술(AI, 사이니지 등)

요즘 음악 예능 프로그램, AI 기술이 열풍!

 안녕하세요!

 

 

출처: 제일기획 매거진

 

여러분, 사이버 가수 아담 아시나요?

 

 

사실 저는 TV나 인터넷에서 들어보기만 했지, 자세하게 알지는 못하는데요.

사이버 가수 아담은 가상으로 만든 아바타에 실제 가수의 목소리를 입힌 캐릭터로,

사랑하는 인간 여성의 곁에 있고자 사이버 세계를 떠나 현실 세계로 온 설정이라고 합니다.

실존 가수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3D 그래픽으로 아담이라는 아바타를 만들어 마케팅 하는 형태가

현재의 버추얼 유튜버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사이버 가수 아담은 20만 장의 음반 판매량을 보였는데, 당시 IMF 시기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꽤 높은 수치의 기록이라고 합니다. 😧

 

 

이렇게 큰 인기를 끈 사이버 가수 아담이 좀 더 발전된 형태로,

아바타인 듯 아닌 듯, 진짜 사람인 듯 아닌 듯 다시 이 세상에,

특히 예능 프로그램에 등장한다면 어떨 것 같으세요?

 

 

 

 

 

0123

 

 

우리나라의 과거부터 지금까지 꾸준하게 인기를 끌었던 형태의 예능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바로 “음악” 예능 프로그램인데요!

매년 조금씩 다른 형태로 혹은 같은 프로그램이 시즌7,8…11까지 롱런하던

음악 예능 프로그램 사이클 사이에서

이번 2022년도엔 좀 더 색다른 형태의 프로그램들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출처: TIVING

TIVING 웹예능 '얼라이브' (4부작)

 

 

 

올해 128, TVING에서 제작한 얼라이브는

'완성형 엔터테이너 임윤택님과 비운의 천재 유재하님을 다시 만나자'

취지로 제작된 신기술 음악 콘텐츠입니다.

 

 

 

출처: 헤럴드경제

 

 

음성 복원, 페이스 복원, 바디모델을 사용한 딥페이크 기법을 바탕으로 제작한 확장현실(XR) 스테이지를

별이 된 아티스트의 모습과 목소리를 생생하게 구현하여 그들을 그리워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했습니다.

 

 

 

확장현실 스테이지를 통해 울랄라세션 멤버 모두 참여하여 신곡을 공개하기도 했고,

유재하님도 35년만에 신곡을 공개했는데요.

 

 

 

여기서 딥페이크(deepfake),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인간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딥페이크란 용어는 AI의 한 형태의 기반 기술인 딥러닝(deep running)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요.

 

딥페이크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페이스 스와핑(face swapping, 말 그대로 얼굴을 교체)기술을 사용하는 자동 인코더와 관련된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딥페이크의 기초로 사용할 대상 비디오 + 그 대상에 삽입하려는 사람의 비디오 클립 모음

이 두 가지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예시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의 딥페이크 비디오를 들자면,

누군가 트럼프와 비슷한 복장을 하고 촬영한 다음, 트럼프가 인터뷰 한 여러 비디오를 준비하면?

딥페이크 비디오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딥페이크 기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다수 존재하고 있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시청자의 반응을 보면 얼라이브가 딥페이크 기술을 올바른 방향으로 사용하고 있는

좋은 예시 중 하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너무 좋은 기획이라 감동적이네요.’

 

‘AI 기술이라는 것을 마냥 차가운 시선으로만 봐왔었는데, 이런 따뜻한 감동이 있을 거라고는 생각 못했어요. 다시 보고 싶은데 보지 못하는 추억 속의 그들을 많이 많이 보여주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의 발전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는 것에 좋은 감명을 받고갑니다..’



 

출처: 네이트 뉴스

 

 

최근엔 지난 96일에 주최된 2022 뉴미디어 콘텐츠상 대상을 수상했다는 좋은 소식까지 전해졌네요!

👏👏👏

 

 

 

 

 

출처: MBN 홈페이지

MBN 예능 '아바타싱어' (15부작)

 

 

 

다음은 지난 826일부터 현재 방영 중에 있는 아바타싱어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아바타 싱어들이 무대로 경쟁을 펼치는 국내 최초의 메타버스 음악 서바이벌 프로그램인데요.

앞선 얼라이브와는 다르게 실제 가수들이 마치 MBC복면가왕프로그램처럼

가면 대신 '아바타'를 활용해,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경쟁을 하는 서바이벌 프로그램 형식을 띄고 있습니다.

제가 글의 초반에서 언급했던 사이버 가수 아담과 비슷한 것 같지 않으세요?😊

 

 

 

무려 150의 제작비를 투입한 아바타싱어’!

 

 

 

하지만...

 

호불호가 나뉘는 시청자 반응과 제작비에 비해 낮은 시청률을 보이고 있는데요.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클립 영상에는 아래와 같이 뼈 아픈 댓글들이 달리기도 했습니다.

 

 

 

 

 

 

 

 

또한 실제로 제페토와 이프랜드와 같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이들의 반응도 좋지 않았습니다.

 

 

‘아바타의 표정과 행동이 부자연스럽고 아바타보다는 애니메이션의 느낌이 강하다’

‘가창자와 아바타가 따로 노는 느낌이다’ ‘아바타들의 비주얼과 이들이 사용하는 능력 효과는 메타버스보다 아이들이 보는 만화에서 보일 듯하다’


 

 

 

이렇듯 시도는 좋았으나 가상공간인 메타버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

메타버스에 익숙한 사람들 전부 제대로 공략하지 못한 점이 아쉬운 것 같습니다.

 

 

 

 

 

출처: 네이버 포스트

어떠신가요?

요즘 #메타버스 #딥페이크 #AI #증강현실 과 같은 키워드들을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기술들이 이제 우리가 보는 예능 프로그램까지 뻗어 나간 것을 보니,

앞으로의 참신하고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들이 더욱 기대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해드린 얼라이브와 같은 프로그램 처럼

딥페이크 기술을 이제 다신 볼 수 없는 사람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을 위해 활용하는 긍정적인 사례

볼 수 있었고,

아바타 싱어를 통해 우리나라 예능 프로그램까지 퍼져 나간

메타버스의 스펙트럼도 확인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AI로 무대에 돌아온 그리운 가수들…인기 뮤지션이 3D 아바타로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오명언 기자 = 1987년 세상을 떠난 유재하가 무대에 올라 피아노를 치며 노래를 부르고, 1990년 별세한 가수 김현식이 자...

www.yna.co.kr

 

 

'얼라이브', 故임윤택 함께한 울랄라 세션 신곡 공개…뭉클함 선사

[조이뉴스24 김지영 기자] 故임윤택이 함께하는 울랄라세션 신곡이 '얼라이브'에서 공개된다. 영원한 슈퍼스타 임윤택의 복원으로 잊을 수 없는 감동을 선사한 티빙 오리지널 '얼라이브

www.joynews24.com

 

딥페이크 딥러닝 프로그램, 이게 다 뭐야? | 타입캐스트

요즘 '딥페이크' 혹은 '딥러닝'이라는 말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요, 이미지 합성 기술로도 알려진 이 기술은 대체 뭘까요? 자세히 알아봅시다

typecast.ai

 

故유재하·임윤택 소환한 '얼라이브', 뉴미디어 콘텐츠상 대상 수상

'얼라이브'가 수상 소식을 전했다.6일 JTBC는 JTBC팩추얼사업팀과 선인장미디어가 공동 제작한 티빙 오리지널 '얼라이브'가 지난 2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202

www.dailian.co.kr

 

 

"'아바타싱어' 어때요?", 메타버스 이용자에게 물었다

메타버스는 디지털 신대륙으로 불리기도 한다. 새로운 친구를 만들거나 쇼핑을 하는 등 다양한 체험을 가능하게 만드는 이 공간은 최근 성장 가능성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자연스레 방송계

www.hankoo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