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소비자 트렌드

올 여름엔 해외로! 2023 여행 트렌드 'R.E.S.T'

 
 
 
 
안녕하세요, 20210063 광고홍보학전공 김예원입니다.
 
 
 
점점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올 여름휴가는 어디로 갈지 고민 많으시죠?
엔데믹이 본격화되면서 3년동안 못 떠났던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올해 여름휴가를 준비하는 사람들을 통해 2023년 여행 트렌드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01

11일 호텔 검색 플랫폼인 '호텔스컴바인'과 검색 엔진인 '카약'에서 공동으로
해외여행지의 호텔 및 항공권 검색량 데이터를 분석해 2023년 여름 해외여행 트렌드 'R.E.S.T'를 발표하였습니다.
 
 
 
 
'R.E.S.T'의 약자를 하나씩 풀어볼까요~?
 
 
 
 
 

1. R (Rush on overseas travel)
: 해외여행 수요 급증 
 

연합뉴스 출처

 

올해 여름 기간 중 전체 해외 항공권 검색량이 전년 대비 무려 3배 이상 증가하며
해외 호텔 검색량 역시 3배 이상 늘었다고 합니다.
또한 통상 항공업계의 2분기는 비수기로 꼽히지만, 5월 황금연휴 기간동안
각 항공사의 국제선 예매율도 만석에 가까웠다고 하는데요.
 
이처럼 여름 성수기 뿐만 아니라 비수기만큼도 압도적인 예약률을 보이는 원인으로
코로나 19로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가 상당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2. E (Easy to reach)

: 일본, 동남아 등 근거리 여행 주목 

 
 
 
작년에는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장거리 여행지들도 많은 검색량을 보였던 반면,
올해는 일본, 베트남, 태국 등 일본과 동남아의 주요 도시들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뉴스핌 출처

 
최근 고물가와 일상 회복이 겹치며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가성비를 내세운 여행을 뜻하는 신조어인 '세이브케이션'으로 인해
한국과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한 나라들에 대한 검색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코로나로 인해 3년 전과 비교하면 항공권 가격이 여전히 약 2배 정도나 비싼 수준이기에
사람들이 그나마 저렴한 나라를 선호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3. S (Seaside vacation destination)

: 휴양 여행지 인기

 
 

특히 근거리 여행지 중 휴양 여행지들로 손꼽히는
베트남, 필리핀 등의 여행지가 인기라고 합니다.
 
 
전년 대비 검색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필리핀의 보홀과 베트남의 나트랑은
두 곳 모두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보여주며 여름철 시원한 바다 속에서
헤엄치며 다양한 생물들과 어울리는 상상을 펼쳐주는 도시랍니다.
 

뉴스핌 출처

 
 
 
 
 
 
 
4. T (Trend towards premium hotels)

: 4∙5성급 호텔 선호
 

마카오 호텔 이미지

 
호텔 등급별 검색량을 살펴보면 4성급 호텔이 1위,
그 다음으로는 5성급 호텔이 많은 검색량을 보였습니다.
 
 
2번째에서 그나마 항공권이 저렴한 나라들이 인기라고 하였는데요,
항공권을 아끼는 모습에선 가성비를 챙기는 듯하면서 
값비싼 고급 호텔을 구매하는 모습에선 또 가심비를 챙기는 모순적인 상황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이 2023년 여행 트렌드를 요약하자면,
올해는 많은 사람들이 국내가 아닌 해외로, 또한 해외 여행지 중
항공권이 저렴하면서 몸과 마음을 편히 쉴 수 있는 휴양지로 떠나
4,5성급 호텔과 같이 고급스러운 여행들을 떠날 것임을 예상합니다.
 
 
다들 2023년 여름 휴가는 어디로 떠나실 건가요?
 
 
 
 
 
이상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엔데믹 첫 여름휴가, 한국인 항공권 검색 1위 여행지는 - 머니S (moneys.co.kr)
비싼 성수기지만 해외여행 떠난다...휴양지 주목 < 동향·트렌드 < 여행BIZ < 기사본문 - 여행신문 (traveltimes.co.kr)
해외여행 수요 폭발인데…항공권 가격 언제까지 오를까 : 100세시대의 동반자 브릿지경제 (viva100.com)
[시사금융용어] 세이브케이션 < 시사용어 < 기사본문 - 연합인포맥스 (einfoma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