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국민대학교 재학 중인 국어국문학과 20220018 손민수입니다!
챗 GPT가 막 나왔을 당시
저는 심심할 때마다 챗 GPT에게 이것저것 질문하며 시간을 보내기도 했었는데요,
요즘은 포토샵이 그 역할을 대신해주고 있습니다.
네? 무슨 소리인지 모르시겠다고요?
음~ 어쩔 수 없군요! 이해하기 쉽게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죠!
https://www.youtube.com/watch?v=iE39q-IKOzA
여러분께 이 영상은 너무 익숙하시려나요?
올해 정말 뜨겁게 이슈가 되었던 생성형 AI가 만들어낸 해리포터X발렌시아가 동영상인데요.
'챗 GPT'로 시나리오를 작성, '미드저니'로 이미지를 생성,
'Eleven Labs'로 출연한 인물들의 목소리를, 마지막으로 'D-ID'를 통해 영상화까지!
해리포터를 보지 않은 저로서도 해당 동영상으로 보며 자연적으로 연상되는 이미지에 감탄을 했습니다.
엄청난 돈을 들여 촬영장비를 마련하고, 배우를 섭외하지 않아도
컴퓨터 작업만으로 나름 고퀄(?)의 영상을 뽑아낼 수 있다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해당 영상이 엄청난 인기를 끌자 유튜브에는 다양한 바리에이션도 나와 보는 재미가 있었죠.
https://www.youtube.com/watch?v=qSewd6Iaj6I
해리포터X발렌시아가 동영상이 나온 비슷한 시기에
유튜브에는 '페퍼로니 허그 스팟'이라는 이름으로 괴상한 광고가 한 편 올라옵니다.
이 광고를 보는 당시 저는 밥을 먹으면서 알고리즘에 콘텐츠를 맡겼는데, 곁눈질을 하며 밥을 먹는 30초간
이질감이 들어 음식에 시선을 떼고 동영상을 유심히 봤습니다.
그런데 인물들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심지어는 기괴하기까지 하여 단번에 AI가 만들어낸 영상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던 도중 제가 사용하는 포토샵에도 생성형 AI 관련 툴이 도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얼마만큼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서 실험을 해보러 갔습니다. 아직 정식 출시되지는 않았지만, 포토샵 베타 버전에서 사용가능 합니다.
여러분은 이 사진에서 이질감을 느낄 수 있나요?
멘트에서 예상하셨다시피 이 사진은 제가 찍은 원본 사진을 포토샵 생성형 AI로 확장한 사진입니다.
원본을 알고 있는 제가 봐도 어느 부분이 가짜인지 구분을 못 하겠네요!
원본 사진은 이렇답니다. 오히려 위의 사진을 잘라낸 것 같은 느낌도 드네요.
원래 있던 것에서 추가하는 것은 물론,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것도 아주 자연스럽게 말이죠.
위 사진은 아무것도 없는 캔버스에 '대한민국 강릉의 바다'라는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생성한 결과물입니다.
제가 심심해서 여러 가지를 시험해 본 결과 프롬프트 입력을 얼마나 상세하게 하느냐에 따라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확률이 높았습니다.
그냥 '바다'라고 명령어를 입력하면 대부분 지중해의 아름다운 빛깔의 바다를 그려주었으니까요.
아래는 제가 실험해 보았던 재미있는 예시들입니다. 재미있게 감상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