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캠페인 Case Study

시장은 이제 귀요미들이 접수한다!

 

안녕하세요 디지털마케팅 수강생 김이진입니다!

 

 

 

최근 물건을 사러 나갔을 때 쉽게 캐릭터들이 상품과 콜라보하여 귀여운 제품이 나와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을 할 때도 기존에 있던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캐릭터와 콜라보를 하자 갑작스럽게 인기가 많아져 제품이 주목받게 되는 모습을 보게 되면서 캐릭터 마케팅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스마트폰 등의 장치를 통해 온라인 광고로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알리고, 판매하는 것입니다. 캐릭터 마케팅의 경우 기존에 인터넷을 기반으로 광고, 게임, 웹 브라우저 등 디지털 매체에서의 사용으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마케팅의 일종이었습니다.

그렇게 성장한 캐릭터 마케팅은 현재 많은 인기를 누리면서 디지털 마케팅에서 인기를 끌고 있고, 디지털 매체에서 벗어나 실제 상품들에도 사용되게 되었는데요. 디지털 마케팅으로서의 캐릭터 마케팅과, 디지털 매체와 그 외에 새로운 시장을 구축하고 있는 캐릭터 마케팅이 저는 디지털 캠페인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이에 대해 주제를 잡게 되었습니다. 이제 캐릭터 마케팅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캐릭터 마케팅이란 인기있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만들거나 상표와 제품을 알리는 마케팅 활동을 뜻합니다.

요즘은 누구나 캐릭터 소품 하나쯤은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안 가진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인데요.

문구나 인형 등 전통적인 캐릭터 상품은 물론 패션, 뷰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캐릭터 마케팅을 펼치면서 일상 속에서 캐릭터를 쉽게 접하게 되었습니다.

 

 

 

캐릭터를 활용한 비즈니스는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 욕구와 감각적인 소비 형태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기업들의 주요한 마케팅 기법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과거의 캐릭터는 TV 애니메이션 기반으로 주로 아동 완구나 문구류에 국한되어 매출 증대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한 보조적 도구를 활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캐릭터의 높은 인지도를 형성하고 활용 범위를 확대해 나가면서 보조적 관계가 아닌 대등적 관계로 변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불황 속에서도 나홀로 성장 중인 국내 캐릭터 산업 규모는 매출액 기준으로 지난해 11 573억원으로 성장했습니다. 1990년대 캐릭터 산업 규모가 1000억원대인 지표와 비교해보았을 때 캐릭터 마케팅의 성장세가 얼마나 대단한 지 알 수 있습니다.

캐릭터 산업 규모는 2005 2조원 대에서 2015 10 807억원으로 처음 10조원을 넘어섰으며 연평균(CAGR) 16% 이상 꾸준히 성장하였습니다.

 

 

 


 

 

먼저  대표적인 캐릭터 마케팅 사례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펭수

펭수는 방송국 소품실 한구석에 거주하며 방탄소년단을 롤 모델로 노래와 안무를 연습하는 EBS 연습생입니다.

펭수는 현대 직장인의 마음을 대변해주듯이 형식적인 아이들의 캐릭터가 하는 멘트가 아닌 거침없고 현실적인 입담과 임기응변 능력으로 직장인들의 공감 유발하게 되면서, 아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 큰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펭수와의 콜라보레이션은 브랜드 상품 완판을 불러일으키면서 펭수의 인기를 보여줍니다.

 

출처 : 동원참치 홈페이지, 수능특강 홈페이지
출처 : 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2785

 

최근 펭수는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쉬와 콜라보를 진행하였고 그 밖에 수능특강과도 콜라보를 진행하여 전국적으로 콜라보 제품이 판매되었었습니다. 게임, 디지털 광고 등을 통해 디지털 마케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밖에 이마트, 락앤락, 제주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매체에서 벗어난 분야에서도 콜라보를 진행하며 성공적인 캐릭터 마케팅을 이루어 냈습니다.  

 

 


 

카카오프렌즈 

카카오 프렌즈는 뷰티, 패션, 교육, 식품, 음료 등 그 영역을 넓히면서 다양한 산업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큰 폭의 매출 성장세를 이루어내었습니다.

 

 

명품 X 카카오프렌즈

 

출처 : http://www.k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489

 

루이 비통 전시를 기념해 만든 한정판 이모티콘 16종은 카카오프렌즈들의 다양한 캐릭터들이 루이 비통의 시그니처 아이템인 트렁크와 함께 각기 다른 스타일로 여행을 즐기는 모습들로 구성돼 있었습니다.

루이비통과 카카오프렌즈 캐릭터의 협업으로 기존의 명품 브랜드가 가진 올드하고 권위적인 이미지를 희석시키면서 고급스러움과 희소성은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식품 X 카카오프렌즈 

출처 : https://sports.donga.com/article/all/20200903/102772522/2 & 밀키스 홈페이지

 

 

카카오프렌즈는 음료수, , 커피, 등등 식품 내에서도 그 종류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했습니다.

 


 

화장품 X 카카오프렌즈 

 

 

출처 : 더페이스샵 & http://www.fntimes.com/html/view.php?ud=20190611143449667902857eb1a_18&mobile=1
출처 : https://blog.naver.com/dlcmalsis/221790543885 & 지마켓 홈페이지

 

 


 

카카오프렌즈 X 생활용품

 

출처 : https://blog.naver.com/syh5524/220831599715, https://blog.naver.com/hypergand/220868225220
출처 : 크리넥스 홈페이지, https://blog.naver.com/pw7766/221747315221

 


 

카카오프렌즈 X 금융권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170714090700002?input=1195m

 

카카오뱅크는 6개월만에 가입자 500만명을 달성했습니다.

인기의 원인에 대해 조사해본 결과 카카오뱅크 500만 가입자가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가 귀여워서 가입했다고 대답하였는데요.

 

500만명을 카드가입 시킨 것 만큼 캐릭터 마케팅이 시장에서 가지는 영향력과 제품과 브랜드를 선택할 때 캐릭터가 사람들의 결정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출처 : https://www.dispatch.co.kr/1520243

 

 

이렇게 카카오프렌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캐릭터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식품, 화장품, 금융권, 생활용품 등 거의 모든 분야와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빙그레 - 빙그레우스 

 

출처 : 빙그레 인스타그램

 

 

빙그레는 최근 빙그레우스라는 캐릭터를 사용해서 성공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제품을 알리는 빙그레우스라는 캐릭터는 빙그레 자사의 캐릭터입니다.

여기서 빙그레는 빙그레우스가 빙그레왕국의 왕위를 물려받아 왕국을 운영한다는 스토리 설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빙그레 제품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하게 되면서 효과적인 마케팅을 이루어 내었습니다.

인스타그램이라는 디지털 매체를 효과적으로 이용한 캐릭터 마케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메리츠화제  걱정 인형

출처 : 메리츠 화제

 

메리츠 화제의 걱정인형은 한 때 디지털 광고를 통해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머리맡에 인형을 두고 자면 그 걱정을 인형이 모두 가져간다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데요.

동화 같은 이야기를 접목시킨 이 걱정인형은, 자칫 차가울 수 있는 보험회사의 이미지를 친근하고 감성적으로 바꿀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광고가 시행 된 이후로, 메리츠 화재의 인지도는 75%까지 올랐다고 합니다.

 

 


 

러시앤캐시  무과장

출처 : https://blog.naver.com/paranzui/50170015958

 

 

러시앤캐시의 경우에도 성공적인 캐릭터 마케팅을 수행했습니다.

러시 앤 캐시는 대표적인 대부업체이기 때문에 업종의 부정적인 이미지로 공중파에서는 광고를 쓰기도 어렵고 연예인 모델도 쓰기 어려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소비자와 친해지는 방법으로 선택한 수단이 바로 캐릭터입니다.

 

'무과장'은 러시 앤 캐시의 대표 마스코트입니다. ‘가 캐릭터로 활용된 것은 무라는 단어가 무담보 대출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없을 무()와 같은 단어였기 때문입니다.

 

주로 CM송 위주였던 신용대출업계의 광고와는 달리, 러시 앤 캐시의 광고들은 무과장의 직장생활, 가정사 등 여러 가지 에피소드들을 통해 무과장의 이야기로 감성적인 스토리텔링에 집중한 마케팅을 진행하여 소비자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친근하게 다가갔습니다. 이 역시 디지털 매체를 통해 진행된 성공적인 캐릭터 마케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ojum7897/220191894397 , 산와머니 홈페이지 , BT21 홈페이지

이밖에도 타요버스 캐릭터와 버스의 콜라보, 산와머니 자체 캐릭터 빈즈군, 방탄의 BT21 캐릭터, 이니스프리와 디즈니 캐릭터의 콜라보, 미샤와 미니언즈의 콜라보 등

캐릭터 마케팅은 활발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이제 이렇게 사람들이 캐릭터에 열광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귀여움

 

첫번째 이유는 너무나 당연하지만 귀엽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귀여움은 캐릭터 자체 디자인에 대한 귀여움도 있지만 캐릭터가 가진 스토리가 가져오는 귀여움 또한 포함됩니다. 캐릭터는 성격과 좋아하는 것, 특징, 등 세세하게 설정한 캐릭터만의 스토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스토리텔링은 캐릭터의 귀여움에 더해져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캐릭터들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해 재미 요소를 갖게 되고 소비자들의 공감을 얻게 됩니다.

 

 

 

 

 

  2. 키덜트 문화

키덜트 문화는 과거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문화를 뜻하는데요. 키덜트 문화가 성인들 사이에서 번지게 되면서 캐릭터 소비자 층이 아이에서 성인으로 급속히 확대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키덜트를 겨냥한 전자제품이나 생활용품까지 다양한 굿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키덜트는 아이들과 달리 금전적인 여유와 주도권을 가지고 소비 여건이 충분하기 때문에 적극적이고 비교적 큰 금액을 소비합니다.

또한 기존 아이들에 있어서 캐릭터 산업은 장난감이나 문구류 등의 좁은 범위에서 콜라보 되고 소비되었던 것과 달리 어른들의 경우 금융, 화장품 등의 폭 넓은 콜라보 범위와 소비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캐릭터 산업 성장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습니다.

 

 

 

 

 

3. 미디어 채널 트렌드의 변화

 

 

최근 들어 캐릭터의 인기가 이렇게 높아진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미디어 채널 트렌드의 변화에 있습니다.

과거에 TV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캐릭터가 인기를 주도했다면, 이제는 SNS 및 유튜브를 기반으로 새로운 트렌드를 생산하며 소비의 대상이 확대되는 것에 미디어 채널 트렌드의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입니다.

이에 따라 과거와 비교했을 때 훨씬 많아지고 발전된 플랫폼에서 캐릭터 노출 빈도를 높일 수 있고 적용하는 캐릭터 마케팅이 소비자에게 더 잘 받아들여지며 다양한 콘텐츠로써도 활용하기 쉽게 되었습니다.

즉 모바일의 대중화와 맞물려 뉴미디어와 네트워크 플랫폼들이 발전하면서 소비자들이 캐릭터를 받아들이고 소비하는 방식도 더욱 폭넓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4. 캐릭터를 통한 자기 표현

 

 

소비자들은 자신의 개성 또는 이미지를 자신이 선호하는 브랜드를 통해 나타내기도 합니다.

만약 선호 브랜드가 독특한 캐릭터를 갖고 있다면 이런 경향은 더욱 강해질 것입니다.

자신의 개성과 이미지를 대변해주는 캐릭터가 있기에 사람들은 거기에 더 관심을 쏟을 것이고, 그러다 보면 자연히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충성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캐릭터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잘 활용하면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고 동시에 매출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됩니다

 

캐릭터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 변화를 할 수 있습니다. 캐릭터 활용을 통해서 딱딱하고 권위적인 이미지를 벗고 귀엽고 젊은 이미지를 구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캐릭터가 브랜드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잘 맞을 경우 캐릭터를 적용한 제품 디자인이 브랜드에 대해 친숙하면서도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캐릭터 마케팅은 기업의 매출에 있어서도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데요. 

캐릭터 부착 여부가 상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이 무려 54.5%에 이른다는 지표를 통해 캐릭터 마케팅이 매출에 미치는 엄청난 영향력을 가늠해볼 수 있었습니다.

 

미적으로 친숙하거나 재미있는 제품들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캐릭터와 콜라보 한 제품들은 소비자에게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하고 상품의 호감도를 상승시켜 상품 구매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러한 캐릭터들을 머천다이징 캐릭터(Merchandising Character)라고 합니다.

브랜드에서 상품화를 전제로 제작된 캐릭터이기 때문에, 각종 굿즈로 생산되어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갈 수 있어서 매출로 직결되기 가장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캐릭터 마케팅에 있어서 캐릭터와 콜라보하여 마케팅을 하는 것과 자사의 캐릭터를 이용한 마케팅을 하는 것은 차이를 보입니다.

 

콜라보 이벤트의 경우 일회적이거나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또한 인지도가 높은 유명 캐릭터를 활용하면 단기간에 매출을 높이는 데는 기여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타사와 차별화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브랜드에서 브랜드 자체의 캐릭터를 만들어 그 캐릭터가 주목 받게 된다면 브랜드만의 독창성을 가진 캐릭터를 소유함으로써 제한없이 자유롭게 캐릭터를 활용하게 됩니다.

그에 따라 콜라보와 다름없는 효과를 계속해서 얻을 수 있습니다.

 

 

 


 

캐릭터 마케팅의 장점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적용성:

대상의 특징을 간결하게 응축한 시각물이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에 적용이 쉽습니다

 


표현력:

브랜드의 캐릭터는 브랜드의 정체성을 온전히 담고 있습니다.

브랜드의 특성들이 캐릭터의 외모, 표정, 외모, 말투 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브랜드의 성격을 캐릭터를 통해 구체화하면서 소비자들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표현력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력은 브랜드의 스토리텔링에 아주 유용한 수단입니다.

브랜드가 전하고자 하는 스토리를 직접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표현력이 매우 뛰어나고, 이것은 다소 추상적이었던 네이밍과 로고와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캐릭터 마케팅을 통해서 브랜드의 정체성을 세밀하고 재미있게 구축하게 됩니다.

 

 


친밀성:

캐릭터는 친근하고 귀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캐릭터는 친밀성을 가지며, 캐릭터 제품이 연령, 성별, 나이에 관계없이 거부감 없이 호감을 갖고 캐릭터를 받아들이게 합니다.

그리고 친밀성을 기반으로 잘 알지 못하는 제품일지라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제품이 매력적으로 보이는 효과 또한 불러옵니다.

 

 

 

주목성:

다른 콘텐츠에 비해 풍부한 이미지와 강한 개성으로 인해 쉽게 눈에 띄고 기억에 남습니다.

따라서 브랜드를 소비자의 눈에 쉽게 띄게 하고, 콜라보 했다는 사실 만으로도 언론의 주목을 받아 홍보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확장성:

원소스 멀티유즈(OSMU)에 적합한 콘텐츠로서 다양한 형태로 확장이 가능해 지속적인 활용이 가능합니다.

브랜드 캐릭터는 브랜드 고유의 지적재산으로 라이선스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유관 산업분야에서 활동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경제성 :

유명인을 모델로 하는 광고 활동이나 콜라보보다 소요되는 금액과 시간이 훨씬 적고 쉽게 다양한 모습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 적은 투자로도 높은 매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브랜드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성이 아주 좋은 마케팅 방식입니다.

 

 


 

 

 

 

캐릭터 마케팅에 대해 조사해보면서 마냥 귀엽게만 보였던 캐릭터들이 사실은 시장에 거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들을 이끌고 마케팅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니니즈"라는 캐릭터를 굉장히 좋아해서 콜라보한 제품들을 많이 사곤 했는데 여러분의 최애 캐릭터는 무엇인가요?

 

 

 

 

 

 

https://blog.naver.com/e_adventure/221782661060

 

스토리로 말하는 캐릭터 마케팅, 펭하(펭수하이)~

여러분들 모두 펭하~!요즘 여기저기서 펭하 혹은 펭수 라는 단어가 많이 들리고 있습니다.'펭하'...

blog.naver.com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307524&memberNo=22517376&vType=VERTICAL

 

'펭수', '카카오 프렌즈'로 보는 캐릭터 전성시대, 효과적인 이유는?

[BY 문화뉴스] [문화뉴스 MHN 선수빈 기자] 최근 가장 뜨거운 열풍을 불러일으켰던 EBS 캐릭터 '펭수'를...

m.post.naver.com

https://stonebc.com/archives/5319

 

캐릭터 전성시대, 브랜드는 왜 캐릭터에 주목해야 하는가? - 스톤브랜드커뮤니케이션즈

캐릭터와 소비자의 특성을 이해해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데 활용할 아이디어를 나누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지금부터 왜 캐릭터에 주목해야 하는지 이야기해보고자 한합니다.

stonebc.com

https://brancosblog.co.kr/47

 

브랜드 캐릭터, 돈 들여 만들면 뭐가 좋은데?

어딜 가도 캐릭터가 없는 곳이 없습니다. 서울 한복판에 캐릭터 굿즈 매장이 크게 생기는가 하면, 문구나 팬시 용품을 넘어서 각종 전자제품이나 생활용품, 심지어 식품의 패키지에도 캐릭터가

brancosblog.co.kr

https://www.dispatch.co.kr/1520243

 

500만 가입자 사로잡은 카카오 뱅크의 인기 비결

주위에서 인터넷뱅킹 '카카오뱅크' 많이들 이용하시던데요. 카카오뱅크의 인기 비결 과연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더보기]

www.dispatch.co.kr

한국콘텐츠진흥원 

- www.kocca.kr/cop/main.do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 콘텐츠제작종합지원센터, 지원사업, 인프라구축, 인력양성, 문화사업 운영, 연구보고서

www.kocc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