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면서 기존 산업 형태에는 많은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외부 환경에 따라 사업의 아이템과 방향의 전환을 '피보팅'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 19를 기점으로 외부 요인에 급변하는 흐름에 맞춰 사업 전략의 변화를 뜻하는
중요한 경제용어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피봇(pivot)의 사전적 의미는 '물건의 중심을 잡아주는 축'이라는 뜻입니다.
주로 스포츠에서 사용하는 표현으로 농구나 핸드볼에서 한 쪽 다리는 땅에 붙여 축으로 고정하고,
다른 쪽 다리는 여러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음 움직임을 준비하는 동작을 의미하는데요.
최근 스타트업에서는 피보팅이란 단어를 일종의 성공공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기존 사업에 안주하기보단 변동성이 큰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피보팅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선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여러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피보팅은 어떤 전략을 중심으로 바꾸느냐에 따라'핵심역량 피보팅', '하드웨어 피보팅', '타깃 피보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핵심역량 피보팅'은 가장 대표적인 피보팅 전략입니다.
기업의 핵심역량인 기술이나 운영 노하우 등 기존 회사가 보유한 역량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하는 식인데요.
비교적 몸집이 가벼운 스타트업의 경우에는 시장과 소비자의 변화에 따라 자사가 보유한 자산을 바탕으로
신속하게 사업을 전환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기업은 물론,
한국의 배달의 민족, 스노우카메라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회사들이 성공적인 피보팅으로 지금의 성과를 이뤘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예인 '배달의 민족'은 초창기 때 전화번호를 소개하는 어플이었습니다.
사업을 확장시켜나가는 과정에서 타깃이 음식점 전화번호로 바뀌었고,
'주문'과 '배달'이란 아이템이 추가되어 대표적인 한국 모바일 배달 사업으로 성장했습니다.
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넷플릭스'는 비디오테이프를 우편으로 배달하는 기업이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사업 관련 플랫폼이 커질 것을 예상하고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하여
세계적인 다국적 엔터테이먼트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하드웨어 피보팅'은 기업이 보유한 시설 설비, 공간, 건물 등 물리적 자원 즉 하드웨어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하는 전략입니다.
코로나 19의 타격이 가장 큰 여행, 항공 업계는 코로나 19가 생각보다 쉽게 진정되지 않자
자사가 가진 물리적 자원을 활용하여 사업 방향을 전환하였습니다.
대만의 스타룩스 항공과 에바항공은 목적지에 착륙하지 않고 상공에서 비행만 하는 '체험 비행' 상품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해외여행에 갈증을 느끼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짜 해외 여행을 떠나듯이 기내식과 엔터테이먼트를 제공하고
면세품 구입 또한 가능하게 했습니다.
국내 항공사인 '에어 부산'은 항공 서비스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내 상공 비행 프로그램을 선보였습니다.
고객은 기업에서 중요한 자산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코로나처럼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들의 니즈는 기존과는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타깃 피보팅'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고객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황에 변화하는 니즈에 재빨리 대응하여 피보팅하는 전략입니다.
기업은 유지하던 기존 상품 외 숨겨져 있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 후, 새로운 상품의 피보팅이 중요한데요.
타깃 피보팅에 성공한 사례로는 여행플랫폼 '마이리얼트립'이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엔 해외여행 상품 중심이었으나 코로나 이후 여행 갈증을 느끼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국내여행 중심의 플랫폼으로 재빨리 전환하였습니다.
국내 여행을 스파, 골프 등 여러 테마별로 확보해 고객의 선택지를 다양하게 넓혔고,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고객의 취향을 분석해 최적의 상품을 추천하는 등의 기술 투자도 강화했습니다.
여행이라는 동일한 상품에 변화한 니즈에 맞춰 사업을 피보팅해 새로운 기회를 맞이한 것이죠.
앞선 내용들을 보신 것 처럼 피보팅은 여러 원인에 의한 시장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시도하는 사업 전환이라는 점에서 '혁신'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이미 '규모의 경제'에서 '속도의 경제'로 전환되었고,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우선 제안하고
소비자의 반응을 살핀 후 원래 계획을 빠르게 수정 및 보완하는 가설 검증이 피보팅의 핵심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분야의 어떤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시장에 적응해 나갈 지,
그런 기업이 나온다면 오늘 알게 된 피보팅을 떠올리며 어떤 피보팅 전략을 사용했는지
생각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출처
직장인 67%, 코로나 이후 '유연한 사업 전환(피보팅)' 필요해(잡코리아)
https://www.jobkorea.co.kr/goodjob/tip/view?News_No=18560
직장인 67%, 코로나 이후 '유연한 사업 전환(피보팅)' 필요해
직장인 67.7%, 코로나 이후 '유연한 사업 전환(피보팅)' 필요해 직장인 67.7%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상황에 맞는 유연한 사업 전환을 뜻하는 ‘피보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www.jobkorea.co.kr
코로나19 시대의 생존전략, '피보팅하라'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12713140002142
코로나19 시대의 생존전략, '피보팅하라'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강화될 때마다 시장도 함께 요동친다. 테이크아웃 손님만 받아야하는 카페는 연일 개점휴업 상태다. 식당, 극장, 운동시설 등은 국가에
www.hankookilbo.com
[광고 트렌드] 급변하는 시대의 필수 생존전략! 피보팅 (마제스타지)
https://blog.naver.com/goldncross/222349378945
[광고 트렌드] 급변하는 시대의 필수 생존전략! 피보팅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기존의 산업 형태에 많은 변화가 필요합니다. 외부 환경에 따라 사업의 아이템과 ...
blog.naver.com
에어부산 "무착륙비행 학생들 진로체험 기회로"(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04010806416705
에어부산 "무착륙비행 학생들 진로체험 기회로"
에어부산 무착륙 비행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이 기내 방송 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에어부산 제공 [파이낸셜뉴스] 국내에서 처음으로 무착륙 비행을 선보였던 에어부산(대표 안병석)이 초
www.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