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중국어문전공 19학번 정수진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1.gif)
여러분!
최근에 소셜 미디어 (SNS) 트위터의 상징이었던 파랑새 로고가 사라지고
알파벳 'X' 로 바뀌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로고가 바뀌면서 '트위터는 갔다(Twitter Gone)'이라는 문장이 트렌드가 되기도 했었는데요!
기존 파랑새와는 접점이 하나도 없는 X 로고를 사용하면서 사용자들의 불만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는 가운데
도대체 무엇이 일론 머스크를 흔들어 놓은 것인지, 여러분과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슈퍼앱, 그게 뭔데?
현재 여기저기 빈번히 보이는 키워드 '슈퍼앱',
여러분들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원앱' 또는 '올인원 앱'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슈퍼앱'이 현재 다시금 부상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슈퍼앱의 정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슈퍼앱의 정의
슈퍼앱이란 여러 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앱을 말하는데요!
보통 일반 앱들은 특정 기능을 제공해 각각 별도의 앱으로 설치되고 관리되지만,
슈퍼앱은 여러 서비스를 통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켜주기도 합니다.
- 슈퍼앱의 사례
중국의 'We chat', 동남아시아의 'Grab', 한국의 'Kakao Talk'을 예로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중국의 '위챗 (Wechat)'
가장 성공적인 슈퍼앱이라고 불리는 'Wechat'은 중국 기업 텐센트에서 개발한 메신저 서비스인데요.
중국에서 사용자 13억 명을 확보한 세계 최대 슈퍼앱이라고 불리는 이유, 그림만 봐도 알 것 같지 않나요?
중국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앱이라는 말은 즉, 대체 가능한 앱이 없다는 뜻이기도 한데요.
국내 '카카오톡'과 같은 채팅 앱으로 시작했지만 SNS, 커뮤니티, 위챗 페이(간편결제), 배달, 택시, 숙박 예약 등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 기능들을 모두 'Wechat'이라는 하나의 어플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 출처: 텐센트 2023년 1분기 사업보고서, 2023.05
🚖 동남아시아의 '그랩(Grab)'
베트남, 싱가포르, 태국 등 동남아시아를 여행해 보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사용해 보셨을 어플 'Grab' 역시 슈퍼앱 서비스
입니다! 이륜차 기반 승차 공유 서비스로 시작한 그래븐 한때 '동남아 우버'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승차 공유 시장에서
성공한 앱으로 불리는데요. 승차 공유를 넘어 배달의 민족과 같은 음식•식료품 배달부터 결제, 보험, 물류, 대출까지
생활에서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확장하여 제공 중입니다. 월간 3,200만 명 이상이 그랩을 이용 중이며,
금융 슈퍼앱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는데, 과연 지금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 지 관심을 두고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대한민국의 '카카오톡 (Kakao Talk)'
국내 슈퍼앱이라 할 수 있는 '카카오톡'!
카카오톡은 2010년 출시한 국내 대표 메신저 앱으로, 올해 1월 기준 4,790만 명이 카카오톡 앱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5,120만 명의 94% 사용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여러분들도 모두 사용하고 계시죠?
카카오는 단순 채팅의 기능뿐 아니라 카카오 게임, 택시, 결제 등 생활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일 수 밖에 없는 국내 유일무이한 앱으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 네이버·카카오의 지난달 주요 모바일 앱 이용자 수,2023.02
- 슈퍼앱의 장점
지난 해 10월, 카카오 서버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카카오톡을 며칠간 사용하지 못했던 일 기억하시나요?
서비스가 마비되자 200만 명이나 되는 이용자가 이탈을 하였지만, 약 3일 만에 다시 이용자 수가 회복되는
놀라운 모습을 보였는데요. 그만큼 카카오톡을 대체할 만한 다른 앱이 없도록 하여 이용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강력한 'LOCK - IN' 효과가 있었던 것입니다.
이처럼 기업들은 이러한 'LOCK-IN'효과를 얻기 위해 갖가지 노력을 하는데,
바로 슈퍼앱이 사용자의 이탈을 막아주는 효과를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하나의 앱에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앱의 필요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을 높이고,
이에 따라 고객이 해당 슈퍼앱에 머무는 시간은 늘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확보된 고객으로 슈퍼앱을 제공하는 기업은 광고, 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앱에 넣어 더욱 많은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익을 낼 수 있기도 하고, 사용자 DB 기반의 신규 사업을 진행할 수 있기도 하죠!
앞서 든 사례와 같이 카카오는 카카오톡이라는 앱에 채팅, 쇼핑, 금융, 교통 등 많은 미니 앱들을 한곳에 모아두며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는 것처럼 매체의 파워가 커지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많은 을 설치해 용량을 차지할 일도 없고, 피로감이 줄어들어 사용자들은 편리함을 느끼고,
기업은 충성 고객 확보 및 사업 확장의 기회가 마련되는 Win-Win 효과도 있는 것이죠!😊
- 슈퍼앱의 문제점
하지만 슈퍼앱은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확실한 장점만큼 확실히 우려되는 점도 있는데요.
알고리즘에 따른 편파적 정보가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고,
과도한 자금 쏠림으로 금융 안전성 저하 및
데이터 유출에 대한 우려 상승에 따라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및 사이버 보안이 최우선 과제가 되어버리기도 합니다.
또한 앞서 언급됐던 카카오와 같이 슈퍼앱에 해당하는 메인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그 피해는 연쇄적으로 발생하여 이용자와 기업 간 신뢰를 잃을 수도 있게 되죠!
이처럼 기업들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슈퍼앱 도입에 앞서 소비자 보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어떤가요? 여러분들은 기업의 슈퍼앱 도입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시나요!?
트위터를 성공시켰지만 트위터를 슈퍼앱으로 만들고 싶다는 바람을 세상에 알린 일론 머스크,
과연 'X'는 위챗과 같은 슈퍼앱이 될 수 있을까요?
일론 머스크는 꿈을 이룰 수 있을지, 또 국내에도 최고의 슈퍼앱 '위챗'과 같은 슈퍼앱이 탄생할 수 있을지!
특정 서비스가 아닌 직렬적 마케팅을 진행하게 될 날이 과연 머지않았을 지 궁금해지는 것 같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참고 문헌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super_app.html
슈퍼앱, 서비스에서 플랫폼으로 | 인사이트리포트 | 삼성SDS
일상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모바일 앱을 ‘슈퍼앱’이라고 합니다. 슈퍼앱의 등장으로 전에 없던 시장을 만들고 있고, 스마트폰 앱에 불과했던 애플리케
www.samsungsds.com
http://www.biz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829
[모빌리티] 쏘카가 꿈꾸는 '슈퍼앱'은 무엇? ① 동남아 대표 '그랩'으로 보는 슈퍼앱이란 - 비즈트
쏘카는 지난 5월 \'슈퍼앱\' 전략을 공개하며, 슈퍼앱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쏘카는 그 일환으로 주력 사업인 차량공유 서비스에 코레일과의 제휴를 통한 KTX 예약, 모두의 주차장과의 결합, 전
www.biztribune.co.kr
http://www.insidevina.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31
동남아 최대 차량공유플랫폼 그랩, 성장성에 의문…적자지속, 고위직 줄사임 - 인사이드비나
[인사이드비나=호치민, 투 탄(Thu thanh) 기자] 동남아 최대 차량공유플랫폼 그랩(Grab)의 고위직 인사들이 잇따라 사직하면서 회사의 성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로이터통신은 최근 그랩 내부
www.insidevina.com
https://www.asiae.co.kr/article/2022101916532364157
"그래도 카카오톡"…먹통에 이탈했던 200만명 복귀 -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데이터센터 화재로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카카오톡을 떠났던 이용자 200만명이 하루 만에 돌아왔다. 라인과 텔레그램 등 대체 애플리케...
www.asiae.co.kr
https://www.itbiz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457
일론 머스크도 주목하는 ‘슈퍼앱’ 전략, 한국에서 성공하려면? - IT비즈뉴스(ITBizNews)
한국 모바일 시장을 이끌고 있는 양대산맥을 꼽자면 단연 ‘네이버’와 ‘카카오’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포털, 메신저라는 핵심기능을 앞세워 막대한 유저를 확보하고 여러 사업에 진출
www.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