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1.gif)
안녕하세요!
디지털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수강 중인 22학번 박주현입니다.
지난 8월 24일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기억하시나요?
바로, 옆 나라 일본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시작했던 날짜입니다.
최근 우리나라 국민들의 가장 큰 관심을 받았던 이슈라고 할 수 있죠!
그렇다면 이 이슈가 화제가 되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른 국제적인 이슈들을 차치하고서라도
바로
국민들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바다가 오염되는 것은 우리가 섭취하는 해산물의 건강과도 명확한 관계가 있습니다.
해산물을 안심하고 섭취해도 될까에 대한 의문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는데요.
그러한 국민들의 우려를 고려한 정부는 우리의 수산물이 안전하다는 사실을 알리는 캠페인을 계속해서 진행해 왔습니다.
그렇다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전에도 해산물에 대한 우려가 존재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 이유가 존재하겠지만, 그중 하나는 바로
미세플라스틱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미세플라스틱이란?
크기 5mm 이하의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합니다.
생산 당시부터 작게 만들어진 것을 1차 미세플라스틱, 생산 이후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마모된 것을 2차 미세플라스틱이라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함유되어 있는 제품은 크게
담배 필터, 의류 및 직물, 그리고 화장품인데요.
해변에 버려진 담배꽁초에서 분해된 미세플라스틱,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옷에서 나오는 미세플라스틱,
그리고 특정 손 세정제, 비누, 치약 등 흔히 '스크럽'으로 알고 있는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화장품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
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문제는 제대로 분리배출 되지 못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제대로 버려지지 못한 미세플라스틱은 바다로 흘러들어 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바다 생물들은 아주 작은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한다고 합니다.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바다 생물은 소화 및 성장, 번식 등에 있어 여러 문제를 겪게 됩니다.
그러한 문제를 겪은 생물들이 다시 인간의 뱃속으로 들어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인데요.
미세플라스틱은 이름 그대로 크기가 아주 작은 만큼,
체내에 들어가 장기를 손상시키고,
더 나아가 혈관이나 모세혈관까지도 침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무시무시한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우리가 취해야 할 행동은 무엇일까요?
물론,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대응이겠지만
현실적으로 저렴하고 널리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사용을 한순간 금지하는 것은 오히려 더 많은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이렇듯 미세플라스틱의 문제점과
여러 색이 들어가고 화려하게 디자인된 플라스틱의 재활용이 어렵다는 점,
그리고 플라스틱이 완전히 분해되는 덴 무려 50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여 새롭게 떠오르는 대안이 있는데요.
바로 바이오플라스틱입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라고도 하는 바이오플라스틱은, 기존의 플라스틱 소재와 달리 일정한 조건에 의해 자연적 분해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플라스틱입니다. 주로 바이오매스, 화석연료 기반의 화합물로 만들어지는데요.
일반 플라스틱 제품과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 분해에 500년 이상이 걸리는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재사용이 가능하고,
유기물에 의해 재활용이 가능하며,
소각 역시 기존의 플라스틱에 비해 유해물질 방출이 적다는 점에서 환경에 굉장히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치소비가 중요한 트렌드인 요즘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플라스틱 대신 바이오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 외에
환경을 아끼고 오염을 줄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작…앞으로 어떻게 진행되나 - BBC News 코리아
후쿠시마 원전 운영회사인 도쿄전력이 24일 오후 1시3분부터 태평양 바다로 처리된 오염수 방류를 시작했다.
www.bbc.com
대한건강의료지원단 건강한생활 친환경생활 미세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
대한건강의료지원단 - 건강한생활속 친환경생활의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khms.or.kr
[특집] Ⅰ. 미세플라스틱, 인간·지구 건강에 점점 더 큰 위협 - 워터저널
화석연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생산, 환경적으로 건전하지 않은 폐기물 처리, 해양으로 유입된 폐플라스틱과 미세플라스틱 등은 심각한 환경적·경제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플
www.waterjournal.co.kr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입니다.
kbp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