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디어플래닝 강의를 수강 중인 국민대학교 광고홍보학 전공 20학번 이태우입니다.
저희 티스토리에도 레트로 열풍과 관련된 많은 포스트가 업로드 되어 있는데요. 이를 총 정리하여 2022년 소비자 트렌드 중 하나인
레트로 마케팅(복고 마케팅)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레트로 마케팅이란?
과거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현재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게 재해석하여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
당시 문화를 향유하던 세대들에게는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반가움과 위로를 전달하고,
젊은 세대들에게는 새로운 문화를 전달하여 신선함을 불러일으키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마케팅 기법
_지형 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
그렇다면 이 레트로 마케팅은 왜 인기를 끌까요?
전문가들은 이를 추억이 가진 힘으로 설명합니다. 레트로 마케팅은 우리 사회에서 '추억'이 가진 힘을 잘 보여줍니다.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는 "인간에게는 과거에 대한 회귀 본능이 있다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좋은 기억을 많이 가지고 있고 그때를 그리워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 성인이 된 후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상품이나 작품들이 매번 인기를 끄는 것 역시 이 같은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라 덧붙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의 고된 사회 분위기가 결합되어 과거의 편안한, 행복했던 기억들을 가진 제품들이 더욱 많은 인기를 끌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흔히 유행은 돌고 돈다는 말을 하는데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패션 분야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 레트로 열풍이 불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사례와 함께 레트로 마케팅을 같이 이해하도록 합시다!
_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4/28/2022042801100.html 헬스조선, 전종보 기자.
2000년대 중후반 인기를 모았던 "싸이월드"가 새롭게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기존의 데이터들을 모두 복원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무려 12일 만에 300만 명이 휴면계정을 해제하는 등
과거의 향수를 이용한 레트로 마케팅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6년만의 재출시되어 2022년을 강타한 포켓몬 빵과 띠부띠부 실 역시 이 레트로 마케팅을 100% 활용한 마케팅 사례입니다.
재출시 후 관심을 끌며 출시 두 달 만에 1500만 개 이상의 판매고를 높이고 있습니다.
마지막은 얼마전 한남동 소재의 'aglet' 스토어에서 '크리틱'과 함께 재발매한 극한 티셔츠입니다.
2006년 크리틱은 '극한' 라인의 전개를 시작했습니다. 극한은 당시 supreme에 열광하던 스트릿 팬들을 타깃으로 'supreme'의 뜻,
'극한'을 그대로 한글로 옮긴 로고로부터 시작했습니다.
당시 한국 스트릿 씬들의 팬들의 이목을 끌고 신드롬이 되었던 극한 티셔츠가 2022년 , 15년 만에 애글릿 스토어에서 재발매되었습니다.
싸이월드에서부터 추억의 의류들까지 정말 다양한 브랜드에서 다양한 상품이 재발매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혹시 이런 사례들 말고도 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레트로 마케팅의 사례가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