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소비자 트렌드

"이번 크리스마스는 어느 백화점 갈래?" 더현대, 신세계, 롯데백화점의 크리스마스 경쟁

안녕하세요!

광고홍보학과 20200567 김혜원입니다.

 

 

 

벌써 11월이 되어 2023년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벌써 약 한달 뒤면 크리스마스랍니다. 🎄🎄🎄

 

 

 

여러분은 작년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내셨나요? 🤔

 

어떤 장소를 가야 크리스마스 느낌이 물씬 날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명동이나 청계천에 가서 하루 즐기고, 백화점 크리스마스 장식을 하루 구경하며 또 한번 즐겨야 올해도 크리스마스를 잘 즐겼구나~ 하는 느낌이 드는데요!

 

 

 

몇년 전부터 더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롯데백화점의 크리스마스 장식이 큰 인기를 끌었던 거 알고 계시죠 🤓

 

 

신세계 백화점 미디어 파사드 이미지(출처: 신세계 뉴스룸)

 

특히 크리스마스 미디어 파사드 이벤트 큰 열풍을 일으킨 신세계백화점이 정말 유명하죠!

 

여러분도 보고 오셨을 것 같은데요.

 

 

 

신세계백화점 미디어 파사드 앞의 모습(출처: 머니투데이)

 

수많은 인파가 백화점 앞에서 사진을 찍기 위해 모이고, 사진이 잘 나오는 스팟을 위해서는 한 시간도 넘게 길에 서있기도 했습니다. 

 

 

사실 이런 이벤트는 약 8년 전부터 오랫 동안 꾸준히 해왔는데, 갑작스럽게 큰 인기를 얻게 되어 신세계 내부에서도 당혹스러웠다고도 합니다. ㅎㅎ

 

 

 

그렇다면 왜 갑자기 사람들이 백화점의 크리스마스 장식에 열광하게 된 것일까요?

 

 

 

 

그 이유로 예상되는 몇 가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신세계 미디어파사드의 큰 주목 

 

크리스마스 백화점 장식을 가장 핫한 명소로 만들었던 2021년, 신세계 백화점에서 미디어 파사드에 광고를 없애버려 미관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했습니다.

 

2019년 신세계 백화점의 미디어 파사드(출처: 유퀴즈)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미디어 파사드의 양쪽에는 줄곧 광고가 집행되어왔습니다.

 

 

2021년 신세계 백화점의 미디어 파사드(출처: 유퀴즈)

 

그런데 보시는 것처럼 2021년부터는 광고를 포기하고, 모든 지면을 크리스마스 영상에 사용하였는데요!

 

한눈에 봐도 광고가 없을 때 미디어 파사드가 주는 웅장함이 더 크게 느껴지지 않나요?

 

 

기존에 광고를 해왔던 브랜드도 샤넬과 같은 글로벌 명품 기업들이었고, 단가도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더 높기 때문에 백화점에서 크리스마스 시즌에 광고를 포기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당장의 이익은 포기하고, 미래의 소비자를 더욱 모객하기 위한 투자로 신세계백화점을 '방문하고 싶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이런 변화를 시도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큰 효과를 불러 일으켰다고도 생각하구요!

 

 

2021년 신세계백화점 미디어파사드의 컨셉 (출처: 유퀴즈)

 

또, 신세계에서는 영상의 스토리와 컨셉을 영화 <위대한 쇼맨>에서 차용해와서 신세계만의 헤리티지를 담아 표현해냈는데요.

 

역시 기존에 사용하던 영상은 '여행하는 기차' 정도로 단순했는데, 2021년 부터는 스토리와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사람들의 공감과 감동을 더욱 불러일으켰던 것 같습니다.

 

 

 

이런 신세계의 큰 변화가 신세계 백화점을 크리스마스 제1명소로 떠오르게 만들었고, 다른 백화점들 역시 크리스마스 장식을 아름답게 구현해내며 3사의 크리스마스 장식이 트렌드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2.  MZ세대의 경험과 공유 트렌드

 

그리고 MZ세대가 백화점의 크리스마스 이벤트를 하나의 트렌드로 인식하고, 경험하고 공유하면서 더욱 바이럴이 강화되었습니다. 

 

 

물론 크리스마스 장식을 구경한 사람들의 나이대는 실제로 아주 다양하지만, 백화점에서 찍은 크리스마스 이벤트 인증샷을 SNS에서 공유하는 트렌드가 MZ세대 사이에서 발생했습니다.

 

 

단순히 연인, 가족, 친구와 함께 즐기는 것을 넘어서서 핫플레이스에 방문한 본인의 모습을 SNS에 공유하는 행위가 많이 일어났다는 것입니다.

 

 

화면 캡쳐 사진 (출처: 이코노미스트)

 

2022년 연말에 인스타그램에서 '신세계본점'을 검색하면 나오는 5만여개의 게시물 중 크리스마스 장식에 대한 게시물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MZ세대의 주목은 백화점의 입장에서도 환영인데요.

 

 

백화점 매출 중 MZ세대의 소비율이 상승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MZ세대를 확보하면 장기적으로 백화점 고객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온라인에서 콘텐츠가 공유되고 확산된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홍보 효과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백화점에서는 더더욱 크리스마스 장식에 신경쓸 수밖에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3.  위드코로나로의 전환 

 

마지막으로는, 2021년부터 위드코로나 시대로 전환되면서 해외여행을 하는 대신 국내의 명소를 찾아 코로나19로 지쳤던 사람들이 휴식을 느끼고, 오랜만에 연말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장소로 백화점이 인기를 끌었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백화점 3사의 매출 상승은 얼마나 이루어질까?

 

 

 

아무래도 연말이기도 하고, 크리스마스 날 백화점에 수많은 인파가 몰려 당연히 백화점의 매출 또한 크게 늘어났습니다.

 

 

 

3사의 경우 2022년 크리스마스 기간 매출이 얼마나 상승했는지 알아볼까요?

 

 

 

1. 롯데백화점

2021년 롯데백화점 본점 (출처: 롯데백화점)

 

- '21년도 크리스마스 주말 대비 전체 매출 약 20% 증가

- 특히 오후 6시30분 이후 저녁시간대 매출 30% 이상 증가

- '21년도 대비 다이닝 매출 신장률 약 55% 증가

 

 

2. 신세계백화점

2022년 신세계백화점 본점 (출처: 신세계백화점)

 

- '21년도 대비 매출 약 25% 증가

- 아웃도어 품복 판매 약 50% 증가, 여성의류 약 22% 증가. 아동의류 약 30% 증가

 

 

3. 더현대서울

2023년 더현대서울 (출처: 더현대서울)

 

- '21년도 대비 전체 매출 23.2% 상승

- 남성패션 약 45%, 영패션 약 42%, 여성패션 약 40%, 스포츠 품목 약 36% 증가

 

 

💭 안그래도 매출 상승이 이루어지는 크리스마스 시즌에, 관람거리를 마련하여 더 많은 인파가 모이게 한 영향이 컸던 것 같습니다!

 

 


 

올해도 벌써 3사가 준비를 마치고 엄청난 규모로 화려한 장식을 선보일 예정인데요.

 

 

저는 이번엔 3곳을 전부 방문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은 어디를 가장 방문하고 싶으신가요?

 

 

 

 

 

[출처]

https://brunch.co.kr/@fineadple/134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22610395819387

https://www.shinsegaegroupnewsroom.com/94553/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nffjrkdy&logNo=222603658429&parentCategoryNo=&categoryNo=15&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11201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