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미디어 플래닝 수업을 수강 중인
언론정보학부 광고홍보학전공 20200574 양희원입니다.
이번에 여러 팀 프로젝트를 준비하며 모든 프로젝트마다 PPT를 맡게 되었는데,
프로젝트마다 다른 브랜드에 따라 각각 다른 서체를 사용하며
생각보다 많은 기업과 브랜드의 다양한 서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먼저, 폰트 마케팅이란 무엇일까요?
‘폰트 마케팅’이란
상호, 회사 로고와 같은 직접적인 브랜딩 요소와 더불어 전용 폰트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기업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전달하는 마케팅입니다.
최근 몇 년간 배달의 민족의 성공을 필두로 많은 브랜드가
이 마케팅 덕을 톡톡히 보고 있어 브랜드 전용 폰트 제작에 힘쓰고 있는데요,
이미 많은 분들이 과제나 개인 작업에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기도 한 서체들이
사실 폰트 마케팅의 일부라는 개념 자체는 생소하게 느껴질 것이라 생각되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담은 폰트들을 제작해
성공적으로 마케팅을 했던 사례들을 몇 가지 살펴보려 합니다.
1. 폰트 마케팅의 대표주자 : 레트로, 키치, 세련됨 세 마리 토끼를 잡은 '배달의 민족'
첫 번째로 소개할 브랜드는 가장 대표적 폰트 마케팅 사례로 꼽히는 배달의 민족입니다.
배달의 민족의 경우, 어플을 출시하며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해
김봉진 대표의 딸이름을 딴 ‘한나체’와 ‘주아체’를 개발했으며
이를 무려 무료로 배포하였습니다.
우아한형제들은 모두가 제약 없이 아름다운 한글을 쓸 수 있도록
배달의민족 한나체·주아체·도현체·연성체·기랑해랑체·
한나체 Air·한나체 Pro·을지로체·배민 을지로10년후체를 만들어
무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 출처 : 우아한 형제들 홈페이지
본래 영문 폰트와 달리 한글 폰트는 받침이 있기에 각 글자의 조합도 고려해야 하고
자간이나 행간 등 고려할 사항이 훨씬 까다롭기에,
당시까지만 해도 무료 폰트의 경우에는 퀄리티가 낮고
세련된 폰트는 더욱이 찾기 드물었습니다.
힘들게 제작한 저작물을 무료로 배포하기란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텐데
배달의 민족은 폰트의 라이선스를 개인과 기업에게까지 허가해
개인적 용도 뿐만 아니라 소상공인들로 하여금 브랜드의 폰트를 사용하도록 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광고•홍보효과가 연출될 수 있었습니다.
더불에 서체에 배달의 민족의 아이덴티티인
레트로하고 키치한 아이덴티티가 잘 반영 되었기 때문에
배달의 민족의 폰트 마케팅이 보다 효과적인 마케팅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혹, 배달의 민족 폰트가 마음에 드셨던 분들이라면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더 많은 서체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s://www.woowahan.com/#/fonts
2. 폰트인지 레터링 작품인지... : 브랜드 개성을 살린 '러쉬'
배달의 민족이 한글 폰트 마케팅의 대표 사례라면
영국의 브랜드 러쉬는 영문 폰트 마케팅의 대표 사례로 꼽힙니다.
영국 러쉬의 글로벌 크리에이터 디렉터 케이티 타브람(Katie Tabaram)이 개발한 이 서체는
영국의 과일과 채소를 판매하는 신선마켓에서 볼 수 있는 손글씨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합니다.
특히 러쉬는 천연 재료를 사용해 브랜드의 전 제품을 핸드메이드로 생산하는데,
정형화된 서체가 아니라 핸드라이팅 특유의 자유분방하고 거친 느낌이
러쉬의 핸드메이드와 활기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 같습니다.
국내에도 브랜드가 론칭된 이후, 러쉬 코리아는
매장 내 손으로 직접 쓰는 방식의 블랙보드 문구 작성을 위해
VMD 담당 직원들을 정기적으로 핸드라이팅 교육을 시키는 등
폰트 마케팅에 더욱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이후 러쉬의 폰트는 모든 패키지 뿐만 아니라 매장 곳곳에서도 볼 수 있어
러쉬의 상징과도 같은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안타깝게도 한글 버전 '러쉬 코리아 R'은 아직까지는 배포 계획이 없다고 합니다 ㅠㅠ
그래도 영문 버전 폰트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제작물에서 활기찬 느낌을 내고 싶을 때 사용해 본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링크 : https://fontmeme.com/ktype/lush-font/
3. 모르겠고, 그냥 깔끔한 서체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 '애플'과 '네이버'
앞선 두 폰트가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좀 더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면
이번 사례는 개성은 조금 덜해도 서체의 사용 범용성이 매우 높은 사례입니다.
바로 애플과 산돌이 함께 개발한 SD 고딕과 네이버가 개발한 나눔서체입니다.
먼저, 네이버는 ‘한글한글 아름답게’라는 한글 캠페인의 일환으로 나눔폰트를 공개했습니다.
당시(2008년) 이는 깔끔한 디자인과 제약없는 사용 제한 덕분에
매우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마칠 수 있었습니다.
이후 네이버는 더욱 더 다양한 서체를 개발했는데
환경을 위해 잉크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폰트에 미세한 구멍을 뚫는 '나눔글꼴에코'나
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사람들의 손글씨를 서체로 만드는 등이 그 예입니다.
또한 애플 역시 국내 서체 제작 업체인 산돌과 손을 잡고
애플의 미니멀하고 정갈된 느낌을 담은 '산돌고딕'을 출시하게 됩니다.
특히 기존의 라이선스에 엄격하던 애플과 달리
산돌고딕은 애플 제품 이용자라면 인쇄, 출판, 영상 등 모든 상업적 영역에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가 지나치게 담겨 있는 서체는 부담스럽고,
깔끔하고 정갈한 서체를 원할 경우 두 서체를 사용해보세요.
아래의 링크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s://hangeul.naver.com/
링크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not2&logNo=222067381438
4. (번외) 브랜드는 아니어도 우리만의 폰트가 있다 : '국민대'와 '서울시'
앞선 사례들처럼 최근에는 각 지자체나 대학의 경우에도
자체적인 폰트를 개발하고 배포하고 있습니다.
먼저, 서울시는 서울의 전통적 미와 현대적 멋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서울서체'를 개발했습니다.
또한, 한글 고유의 멋을 살렸기 때문에 서울시민 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에게도 꽤 효과적으로 한국을 홍보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일부 대학들에서도 서체 사업을 펼치고 있는데,
포스팅을 위해 자료 조사 중에 우리 국민대에도
자체적으로 개발한 폰트가 있다는 사실이 흥미로워 이렇게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폰트 마케팅이 이제는 단순 브랜드나 기업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단체의 홍보 수단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5. 브랜드 폰트 다운로드 사이트
그럼 이런 브랜드의 폰트들은 어디서 다운로드 받으면 좋을까요?
일일히 브랜드 홈페이지에 접속하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브랜드의 폰트를 비롯해 무료 폰트를 모아둔 사이트를 하나 소개해 보려합니다.
바로 '눈누'라는 사이트인데 앞서 소개한 브랜드 폰트들도 이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링크 : https://noonnu.cc/
최근에 더욱 다양한 브랜드들이 이러한 폰트 사업에 뛰어들며
디자인 직종에만 종사하는 사람이 아니더라더라도,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서도
다양하고 예쁜 서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트렌드는
제게는 매우 고맙고 신나는 일로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제출해야할 과제가 많은 요즘,
제출 전에 위 사이트를 통해 예쁘고 깔끔한 브랜드의 서체를 활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7791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담다, ‘폰트 마케팅’ - 소비자평가
이 글씨체, 무척 낯익지 않은가. TV•인쇄 광고, 상품 패키지 등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어 쉽게 접할 수 있는 이 글씨체는 음식 배달 애플리케이션 ‘배달의 민족’에서 자체적
www.iconsumer.or.kr
http://www.heumm.com/contents/heumm_font_portfolio/%EB%9F%AC%EC%89%AC%EC%BD%94%EB%A6%AC%EC%95%84
헤움디자인
끊임없이 새로움을 디자인하는 폰트개발전문회사
www.heumm.com
https://blog.cheil.com/4838?t=%ed%8f%b0%ed%8a%b8%eb%a7%88%ec%bc%80%ed%8c%85
한글에 예술을 더하는 글꼴 디자인! | 제일기획 블로그
요즘 여러분은 무엇으로 글을 쓰시나요? 펜과 종이보다는 휴대 전화와 컴퓨터를 자주 사용하고 있진 않으신가요? 생각해 보면 펜으로 글씨를 쓸 땐 각자의 색깔이 묻어나는 글씨체가
blog.cheil.com
https://www.seoul.go.kr/seoul/font.do
서울특별시 서울소개
서울시 서울소개 메뉴로 시청안내, 서울의 상징물(조례), 서울의 상징, 서울의 역사, 서울정보, 서울시민카드, 시민상·시민표창 등의 정보 제공
www.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