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디지털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광고홍보학전공 이희평입니다!
여러분들은 현재 어떤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신가요?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들의 대부분은 아마도
애플의 ‘아이폰’과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 제품을 사용하고 계실 것 같은데요!
올해 초 더 이상 스마트폰을 개발하지 않겠다며 스마트폰 사업 철수를 발표한 LG전자의 영향으로 현재 스마트폰 시장엔 국내에만 무려 1조3000억원 규모의 공백이 생겨 그 어느 때보다 시장의 경쟁이 불꽃이 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애플과 삼성에 밀려 LG가 항상 3위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던
한국과 미국의 스마트폰 시장,
그리고 스마트폰 보급률 자체가 30% 미만으로 스마트폰 시장의 노다지로 불리고 있는 인도시장에서
삼성전자는 국가별로 어떤 방식으로 소비자를 잡으려고 하고 있는지
그 차이점을 각 국가별 삼성전자의 유투브 채널을 중심으로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Samsung Korea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LG전자의 공백을 폴더블 스마트폰으로 초강수를 두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폰 ‘Z폴드3’, ‘Z플립3’의 국내 판매량은 출시 39일 만에 100만대를 돌파했다고 합니다!
물론 전작보다 개선된 제품력과 뛰어난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은 것은 사실이나 아무리 좋은 제품이어도
그 흥행엔 마케팅의 역할이 빠질 수가 없겠죠!
특히나 신제품 구매 고객의 54%는 MZ세대 소비자로 분석되었으며 삼성전자는
“이 같은 판매 호조는 제품력뿐 아니라 MZ 세대를 겨냥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 따른 것”
이라고 발표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삼성전자가 운영하는 한국 유투브 채널인 ‘samsung korea’에서
최근 평균 조회수 200만 이상을 기록하며 폭발적인 반응을 보인 콘텐츠 ‘리얼 마케팅 쇼’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MZ세대들의 사연을 공모하여 그 사연을 기반으로
유재석과 아이돌 가수들이 직접 마케팅을 기획하는 콘텐츠였습니다.
-SAMSUNG US-
미국 채널의 경우, 가장 큰 경쟁사인 애플을 의식한 듯한 콘텐츠를 볼 수 있었습니다!
지난 달 삼성전자의 미국 트위터 공식 계정에서 화제가 되었던 트윗을 알고 계신가요?
애플이 신제품 ‘아이폰13’을 온라인 이벤트를 통해 공개 중이던 9월 15일,
실시간으로 삼성전자 미국 계정은 기존 제품과 크게 달라지지 않은 디자인을 선보인 아이폰을 저격하 듯
“데자뷰를 느끼는건 우리만 그런건가요?”, “저걸 반으로 접을 수 있다면 얼마나 더 멋졌을까?”
라는 트윗을 남겼고 동시에 신제품 라인 제품들의 사진을 함께 남기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애플과의 경쟁 구도를 국내보다 조금 더 노골적으로 비추고 있는
미국의 삼성전자는 유투브 채널의 콘텐츠에서도 애플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올해 8월 ‘SAMSUNG US’ 채널에 업로드 된 뮤지컬 형식의 광고 영상입니다.
영상 중간에는 애플의 로고인 사과를 베어 무는 사운드와 함께
지루한 표정을 짓고 있는 다섯명의 사람들은 마치 애플의 직원들의 모습을 연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들의 유니폼을 벗겨내자 자신들의 개성을 살린 각기 다른 옷을 입고 환하게 웃음을 보이곤 합니다.
삼성은 애플이 강조하는 심플함을 오히려 따분함으로 지적하는 듯 보였습니다.
-SAMSUNG INDIA-
반면, 인도에서는 또 상황이 다릅니다.
삼성전자는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2017년 처음으로 점유율 1위의 자리를 빼앗긴 아픈 과거가 있습니다.
1위를 뺏은 브랜드는 애플이 아닌 중국의 ‘샤오미’였습니다.
인도 스마트폰 시장은 중저가 브랜드가 크게 강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에서 입니다.
때문에 삼성전자도 이번 신제품인 폴더블 시리즈도 소개 중이지만
그보다도 중저가 제품 라인인 ‘갤럭시 A52s’, ‘갤럭시 F42’등을 중심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인 제품들을 주력으로 한 콘텐츠가 유투브 채널에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심지어 ‘own now at 29999’라는 문구에서 볼 수 있다 싶이 정확한 가격들까지 광고 영상에 명시 해놓기도 하였습니다.
또 다른 특징으로 지난해 인도에서 판매된
스마트폰의 40% 이상이 온라인을 통해 판매된 것으로 집계된 점을 눈여겨본 삼성은
'SAMSUNG Shop' 어플과 아마존 등 온라인 판매채널을 강화하고
이를 모든 스마트폰 콘텐츠마다 삽입한 것을 발견 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한국, 미국 그리고 인도에서 삼성전자는
어떻게 소비자들에게 마케팅하고 있는지 유투브 채널을 통해서 비교해보았는데요!!
저도 포스팅을 하기 전까지는 현재 전세계가 다양한 콘텐츠들을 공유하고 있다보니
디지털 마케팅에서만큼은 이렇게까지 크게 차이점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해 재밌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767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09156591g
https://www.newsque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