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소비자 트렌드

플렉스? 욜로? 고물가에 ‘짠테크’ 떴다

안녕하세요 경영정보학과 20182890 채소희입니다.

여러분 혹시 짠테크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 있나요?

최근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물가 때문에 펑펑 돈 쓰는 걸 과시하던 플렉스문화는 이제 옛말이 되었습니다.

그 자리를 짠테크, 하루동안 돈을 쓰지 않는 '무지출 챌린지', 소비 제로 등 소비 절약 키워드가 대신 차지하게 되었죠.

짠테크란 인색하다는 뜻의 짜다와 경제적 투자를 말하는 재테크의 합성어로, 조금이라도 아껴서 자산을 불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 같은 흐름에 맞춰 소비 시장 마케팅 트렌드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1. ‘최저가마케팅에 앞선 유통업계

- 롯데홈쇼핑은 온라인 쇼핑몰 롯데아이몰에서 매월 100개 이상의 유통기한 임박 상품을 선정, 최대 80% 할인된 가격에 선보이는 알뜰 쇼핑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주 목요일 식품 구매 시 최대 15% 적립금 혜택을 제공하는 식품 원데이행사를 진행합니다.

-
이마트도 최저가 행사를 새로 열며 짠테크 마케팅 열풍에 올라탔습니다. 40대 품목 상시 최저가를 개시하여 계절 수요가 큰 신선식품을 대상으로 할인가에 판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가격 모니터링과 추가인하를 통해 약속했던 상시 최저가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GS리테일이 운영하는 온라인 장보기 플랫폼 GS프레시몰에서는 '굿프라이스' 기획전으로 선보인 30여종의 상품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0% 늘었다고 합니다. 

 

2. 런치플레이션? 도시락 구독으로!

 

 

-  런치플레이션을 아시나요? 런치플레이션이란 물가 상승으로 직장인들의 점심값 지출이 늘어난 상황을 일컫습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를 하던 직장인들이 이전보다 점심값이 비싸지면서 부담을 느끼게 됐고, 이에 도시락을 싸오거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메뉴를 선택하는 직장인들이 증가했습니다.

-
이에 따라 편의점 브랜드마다 다양한 구독 서비스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이마트24는 월 6000원 구독료를 내면 30일동안 도시락 20개를 반값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BGF리테일은 월 구독료를 내고 평소 자주 이용하는 품목을 정하면 한 달 내내 해당 품목을 할인 받을 수 있는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짠테크시대 치열한 페이 경쟁

 

 


-
같은 금액을 같은 카드로 결제했는데 포인트 적립률이 다르다? 간편결제 시장에서는 페이 결제 전쟁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은 결제액의 5% 적립으로 화제가 되고 있으며 국민카드를 이용할 경우 최대 적립률은 10.5%까지 올라갑니다.
-
네이버페이도 네이버 쇼핑 내 ‘NPay’가 표시된 상품을 구매하거나 네이버 예약 서비스를 결제하면 구매 금액의 1%(주문당 10만원 한도)를 기본으로 적립해줍니다. 네이버 멤버십에 가입되어 있다면, 4%가 추가돼 총 5%가 적립되는 것이죠.
 

- 카카오페이도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중입니다. '춘식이 심부름 스탬프' 프로모션은 매달 카카오페이가 제시하는 업종별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스탬프가 찍히고, 심부름 완료 횟수에 따라 카카오페이 포인트를 리워드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심부름 3가지 완료시 1000포인트, 다섯 가지 완료 시 2000포인트, 여섯 가지 완료 시 6000포인트를 제공합니다. 

 

 이처럼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낭비를 최소화하려는 소비자들의 변화된 모습이 다양한 소비 트렌드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고물가 시대를 겪으며 사람들의 최근 관심사가 현명하게 지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만큼 다양한 기업들이 시도하고 있는 다양한 마케팅을 소개하였습니다.
  혹시 여러분들은 최근 관심있는 짠테크 방법이 있으신가요? 저도 정가로 사기보단 다양한 혜택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는 시간이었습니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속담이 현재 소비 시장에 딱 맞는 말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021026?sid=101 

 

10만원 쓰면 만원 준다…짠테크시대 치열한 페이 경쟁

짠테크 시대 파격적인 '페이 전쟁' KB페이 결제액의 5%…최대 10.5% 적립 10월 말까지 결제 리워드 행사 카카오페이 편의점·패션·배달·올리브영 등 3가지 심부름 마치면 페이백 네이버페이 플러스

n.news.naver.com

https://m.hani.co.kr/arti/economy/consumer/1047658.html

 

점심은 ‘편의점 구독 쿠폰’으로…‘런치플레이션’ 견뎌내는 법

저렴한 구독료에 20% 할인…편의점 구독 70%↑코로나 잦아들었는데 밀키트 판매 20%대 상승“외식 물가 급등에 소비자들 가성비 제품 선택”

www.hani.co.kr

https://m.mk.co.kr/news/business/view/2022/07/605094/

 

고물가에 초저가·최저가 찾는다…유통업계 '가격 마케팅'

물가 상승이 계속되면서 `초저가`, `최저가` 상품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도 속속 가격 경쟁력을 내세운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GS리테일[00707

www.mk.co.kr